반응형
부팅 시 GRUB 설정 변경
GRUB(GRand Unified Bootloader)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부팅을 관리하는 중요한 부트로더(bootloader)입니다. GRUB을 편집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부팅 시 GRUB 설정 변경 (일시적 변경)
- GRUB 구성 파일 수정 (영구적 변경)
1. 부팅 시 GRUB 설정 변경 (일시적 변경)
이 방법은 GRUB 메뉴에서 특정 커널 옵션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방식으로, 다음 부팅 이후 원래 설정으로 되돌아갑니다.
1) GRUB 메뉴 진입
시스템을 부팅할 때 Shift 키 또는 Esc 키를 눌러 GRUB 메뉴로 진입합니다.
2) 부트 엔트리 편집
- 방향키(↑, ↓)를 이용하여 수정할 커널을 선택한 후 e 키를 누릅니다.
- GRUB 편집 화면에서 linux로 시작하는 줄을 찾습니다.
- 여기에서 커널 옵션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커널 옵션 추가 예시
다음과 같이 quiet splash를 제거하고 single을 추가하면, 단일 사용자 모드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linux /boot/vmlinuz-xxxx root=/dev/sda1 ro single
4) 변경 사항 적용 및 부팅
- 변경을 마친 후 Ctrl + X 또는 F10을 눌러 부팅합니다.
2. GRUB 구성 파일 수정 (영구적 변경)
이 방법은 GRUB의 설정 파일을 직접 편집하여 영구적으로 변경하는 방식입니다.
1) GRUB 설정 파일 위치
GRUB의 주요 설정 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 경로 설명
/etc/default/grub | 기본 GRUB 설정 파일 |
/etc/grub.d/ | GRUB 스크립트 파일 |
/boot/grub/grub.cfg | 최종 GRUB 구성 파일 (자동 생성됨) |
2) 기본 설정 변경
/etc/default/grub 파일을 수정하여 영구적으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sudo vi /etc/default/grub

자주 수정하는 항목
- 부팅 시 GRUB 메뉴 표시 시간 조정 (기본 5초)
GRUB_TIMEOUT=10
- 기본 부팅 커널 변경
GRUB_DEFAULT=0
- 커널 파라미터 변경 (예: 부팅 메시지 표시)
quiet splash를 제거하면 부팅 과정의 자세한 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3) 변경 사항 적용
설정을 변경한 후 반드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해야 합니다.
sudo update-grub # Debian/Ubuntu 계열
sudo grub-mkconfig -o /boot/grub/grub.cfg # RedHat 계열
이후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3. GRUB 복구 방법 (GRUB이 깨졌을 때)
만약 GRUB이 손상되어 부팅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방법으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
1) 라이브 USB로 부팅
리눅스 라이브 USB를 이용해 부팅합니다.
2) 루트 파일시스템 마운트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기존 시스템을 마운트합니다.
sudo mount /dev/sdXn /mnt # X와 n은 시스템에 맞게 변경
sudo mount --bind /dev /mnt/dev
sudo mount --bind /proc /mnt/proc
sudo mount --bind /sys /mnt/sys
3) chroot 환경 진입
sudo chroot /mnt
4) GRUB 재설치
grub-install /dev/sdX # X는 부트 디스크 (보통 sda)
update-grub
5) 재부팅
exit
sudo reboot
이제 정상적으로 GRUB이 복구되어야 합니다.
정리
- 일시적 변경: 부팅 시 e 키를 눌러 GRUB 설정을 변경 후 Ctrl + X 또는 F10으로 부팅.
- 영구적 변경: /etc/default/grub 파일 수정 후 update-grub 실행.
- GRUB 복구: 라이브 USB로 부팅 후 chroot를 이용해 grub-install 실행.
GRUB을 올바르게 설정하면 부팅 옵션을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문제가 발생했을 때도 빠르게 복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Linux > 리눅스 시스템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패키지와 도커 (6) | 2025.03.21 |
---|---|
GRUB 옵션에서 "quiet" (4) | 2025.03.20 |
우분투 서버의 GNOME과 클라이언트의 Budgie Desktop 차이점 및 특징 (4) | 2025.03.18 |
NIS (Network Information Service) 서버란? (5) | 2025.03.16 |
dnf update와 dnf upgrade의 차이 (3)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