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84

셸(Shell)을 능숙하게 다루는 방법

셸(Shell)을 능숙하게 다루는 방법📌 1. 명령어의 기본 구조 익히기셸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입니다.명령어 [옵션] [대상]예시:ls -al ~/Documentsls: 목록 출력 명령-al: 옵션 (숨김파일 포함 상세 목록 표시)~/Documents: 대상 디렉터리✔️ Tip: 명령어 뒤에 --help 또는 man을 이용해 명령어 사용법을 익힙니다.ls --helpman ls📌 2. 자주 쓰는 명령어부터 암기하기셸을 잘 쓰려면 기본 명령어부터 익혀야 합니다.명령어 용도cd디렉터리 이동ls디렉터리 내용 출력pwd현재 디렉터리 확인mkdir디렉터리 생성rm파일이나 디렉터리 삭제cp파일 복사mv파일 이동 또는 이름 변경touch파일 생성 또는 수정 시간 변경cat파일 내용 출..

터미널과 셸의 차이점

🖥️ 터미널과 셸의 차이점 정리1. 터미널(Terminal)이란?입력과 출력을 위한 창입니다.사용자가 키보드로 명령을 입력하고, 그 결과를 화면에 출력해주는 도구입니다.옛날에는 물리적인 장치(텔레타이프)였지만, 지금은 소프트웨어 형태의 가상 터미널을 말합니다.📌 예시:Ubuntu의 GNOME TerminalmacOS의 Terminal 앱Windows의 명령 프롬프트, PowerShell, Windows Terminal 등2. 셸(Shell)이란?터미널 안에서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운영체제에 전달하고, 그 결과를 출력합니다.터미널은 껍데기, 셸은 뇌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대표적인 셸:bash (가장 널리 사용됨)zsh, fish, sh, kshWindow..

리눅스 패키지와 도커

리눅스 패키지와 도커리눅스 패키지는 운영체제에 직접 설치되어 시스템에 영향을 주며, 환경이 공유됩니다. 도커는 애플리케이션과 실행 환경이 포함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격리된 컨테이너에서 독립 실행됩니다.🔧 리눅스 패키지 이미지와 도커 이미지의 비교 설명1. 공통점부터 이해하기리눅스 패키지와 도커 이미지항목리눅스 패키지도커 이미지목적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위한 파일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 전체를 포함한 템플릿포함 요소실행 파일, 라이브러리, 설정 파일 등실행 파일, 라이브러리, 환경설정, OS 레벨의 구성 등설치 방식운영체제 위에 설치 (호스트 환경에 의존)독립된 환경에서 실행 (컨테이너로 격리)관리 도구apt, yum, dpkg 등docker 명령어버전 관리패키지 버전별로 설치 가능이미지 태그로 버전 관리 가..

GRUB 옵션에서 "quiet"

GRUB 옵션 여러 옵션 중에 "quiet" 옵션은 부팅 과정에서 커널 메시지를 숨기는 역할을 합니다.설명GRUB의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설정에서 quiet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부팅 시 출력되는 커널 메시지를 최소화일반적으로 리눅스 시스템은 부팅할 때 커널 로딩, 드라이버 초기화, 서비스 시작 등을 상세하게 출력합니다.quiet 옵션을 사용하면 이러한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으며, 대신 부팅 화면이 깔끔해집니다.로그 레벨을 낮춤quiet 옵션이 활성화되면 대부분의 디버깅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고, 심각한 오류나 중요한 알림만 출력됩니다.함께 사용되는 옵션splashquiet splash 조합에서 splash는 부팅 시 스플래시 이미지(예: ..

부팅 시 GRUB 설정 변경

부팅 시 GRUB 설정 변경GRUB(GRand Unified Bootloader)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부팅을 관리하는 중요한 부트로더(bootloader)입니다. GRUB을 편집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부팅 시 GRUB 설정 변경 (일시적 변경)GRUB 구성 파일 수정 (영구적 변경)1. 부팅 시 GRUB 설정 변경 (일시적 변경)이 방법은 GRUB 메뉴에서 특정 커널 옵션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방식으로, 다음 부팅 이후 원래 설정으로 되돌아갑니다.1) GRUB 메뉴 진입시스템을 부팅할 때 Shift 키 또는 Esc 키를 눌러 GRUB 메뉴로 진입합니다.2) 부트 엔트리 편집방향키(↑, ↓)를 이용하여 수정할 커널을 선택한 후 e 키를 누릅니다.GRUB 편집 화면에서 linux로 시작하는 줄..

우분투 서버의 GNOME과 클라이언트의 Budgie Desktop 차이점 및 특징

🔹 우분투 서버의 GNOME과 클라이언트의 Budgie Desktop 차이점 및 특징우분투(Ubuntu)에서는 GNOME(GNU Network Object Model Environment)과 Budgie Desktop 두 가지 주요 데스크톱 환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에서 각각 사용될 때의 차이점과 특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GNOME (우분투 서버에서 사용)✅ GNOME이란?우분투의 기본 데스크톱 환경으로, 2017년부터 Ubuntu 17.10 버전 이후 기본 환경으로 채택됨.GTK+ 기반으로 개발되며, 직관적이고 현대적인 UI를 제공.확장 기능(Extensions)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음.🔹 우분투 서버에서 GNOME을 사용하는 이유원격 데스크톱 환경 제공기본적으로..

NIS (Network Information Service) 서버란?

NIS (Network Information Service) 서버란?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시스템이 사용자 계정 정보, 그룹 정보, 호스트 정보 등의 데이터를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디렉터리 서비스입니다. 주로 리눅스 및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며, 네트워크 내 여러 컴퓨터가 동일한 사용자 및 그룹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1. NIS의 역할NIS 서버는 중앙에서 사용자 계정 정보를 관리하여,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로컬에서 계정을 따로 설정하지 않고도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 시스템에서 동일한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일관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예제: NIS가 필요한 경우회사 또는 연구소에서 ..

dnf update와 dnf upgrade의 차이

dnf update와 dnf upgrade의 차이🔹 dnf updatesudo dnf update기본적인 패키지 업데이트만 수행합니다.기존에 설치된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지만, 패키지를 제거하지 않고 기존 환경을 최대한 유지합니다.의존성이 깨지는 경우 기존 패키지를 유지하면서 업데이트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최신 패치를 적용하고 싶다면 update 사용🚫 시스템 내 기존 패키지를 삭제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 패키지가 최신 버전으로 완전히 교체되지 않을 수도 있음.🔹 dnf upgradesudo dnf upgradednf update와 기본적으로 유사하지만, 추가로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패키지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기능이 포함됩니다.즉, 패키지의 의존성이 변경되었을 경우..

패키지 관리 시스템, DNF (Dandified YUM)

패키지 관리 시스템, DNF (Dandified YUM)DNF(Dandified YUM)은 Fedora,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CentOS 등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다. 기존의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을 대체하며 더 빠르고 효율적인 의존성 해결과 메모리 사용 최적화를 제공한다.1. DNF의 특징✅ YUM 대비 개선점의존성 해결 향상: 보다 정교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패키지 충돌을 줄임속도 향상: 메타데이터 처리 및 캐싱 최적화로 YUM보다 빠름메모리 사용 감소: 불필요한 메모리 소비를 줄여 경량화됨Python 3 지원: YUM은 Python 2 기반이었지만, DNF는 Python 3을 지원플러그인 시스템 개선: 플러그인을 활..

Rocky Linux에서 키보드 설정 방법

🇰🇷 Rocky Linux에서 키보드 설정 방법Rocky Linux에서 키보드 레이아웃을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방법은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와 명령줄(CLI)을 통해 가능합니다.1. 명령줄(Terminal)에서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 임시로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 (재부팅 시 초기화됨)setxkbmap 🇺🇸 영어(미국):setxkbmap us🇰🇷 한국어:setxkbmap kr🔧 영구적으로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 방법 A: localectl 사용 (권장 방법)sudo localectl set-keymap 🇺🇸 영어(미국):sudo localectl set-keymap us🇰🇷 한국어:sudo localectl set-keymap kr🔍 현재 키보드 설정 확인:localectl s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