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14

리눅스에서 한글(ibus-hangul) 사용

리눅스에서 한글(ibus-hangul) 사용리눅스에서 ibus-hangul을 이용해 한글을 사용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여러 배포판(Ubuntu, Budgie, Linux Mint 등)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입니다. 리눅스를 설치하고 제일 먼저 최고관리자 root의 비밀번호부터 설정합니다. 어떤 경우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사'는 최고관리자 'root'입니다. 최고관리자 비번을 설정하는 것은 설치하면서 등록한 자신의 계정으로 가능합니다.한글 설정한글을 사용하는 우리 입장에서는 한글을 사용할 수 있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글 입력기를 설치하기 전에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합니다. 이어서 입력기 프레임워크와 한글 입력 모듈을 설치합니다. ibus 설정 실행 및 데몬 시작ibus 설정 실행 ..

Rocky Linux에서 Google Chrome 설치

Rocky Linux에서 Google Chrome 설치  1. Google Chrome RPM 파일 다운로드터미널에서 wget을 사용하여 Google Chrome의 최신 안정화 버전을 다운로드합니다.wget https://dl.google.com/linux/direct/google-chrome-stable_current_x86_64.rpm2. Google Chrome 설치dnf를 사용하여 다운로드한 .rpm 파일을 설치합니다.sudo dnf install ./google-chrome-stable_current_x86_64.rpm -y3. Google Chrome 실행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로 Google Chrome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google-chrome-stable또는 GUI 환경에서는 Ac..

[리눅스마스터] 모듈 운용 방식

1802회 1차 047다음 중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① 리눅스에서 커널 모듈은 필요에 따라 커널 이미지에 합류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다.② 모듈 방식은 새로운 장치가 추가될 때마다 커널을 새롭게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③ insmod 명령은 커널에 모듈을 적재하는 명령으로 자동으로 검색하고 삽입한다.④ rmmod 명령은 커널에서 모듈을 제거하는 명령으로 사용 중인 모듈은 제거할 수 없다. 오답노트더보기선택지 분석① 리눅스에서 커널 모듈은 필요에 따라 커널 이미지에 함류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다.올바른 설명입니다.리눅스 커널 모듈은 컴파일 시 커널 이미지에 정적으로 포함되거나, 필요할 때 동적으로 로드 및 언로드할 수 있습니다.② 모듈 방식은 새로운 장치가 추가될 때마다 커널을 새롭게 만들어야 할..

리눅스에서 파일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파일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리눅스에서 파일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파일 권한은 주로 chmod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권한 구조 리눅스에서 파일 권한은 소유자(user), 그룹(group), 다른 사용자(others)에 대해 각각 세 가지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읽기(read, r): 파일의 내용을 읽을 수 있는 권한입니다. 쓰기(write, w): 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권한입니다. 실행(execute, x):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입니다. 디렉터리의 경우 이 권한이 있어야 디렉터리 내의 파일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권한은 숫자로도 표현 읽기 = 4 쓰기 = 2 실행 = 1 각 권한을 ..

리눅스에서 '러스트(Rust)'와 'C'

리눅스에서 '러스트(Rust)'와 'C'리눅스 환경에서 **러스트(Rust)**와 C 언어는 모두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며, 각 언어는 고유한 장점과 단점이 있습니다. 리눅스 커널 같은 저수준의 시스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흔히 사용하는 언어는 전통적으로 C였지만, 러스트는 C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1. 메모리 관리 C: C 언어에서는 메모리를 수동으로 할당하고 해제합니다. 개발자가 직접 malloc, free와 같은 메모리 관리 함수를 사용해야 하며, 이로 인해 메모리 누수와 같은 버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러스트: 러스트는 소유권(ownership) 시스템과 빌림(borrowing) 검사를 통해 메모리 안전성을 컴파일 타임에 보장합니다. 이를 통해 메모리 누수와 댕글링 포인터(da..

[리눅스 시스템] 업데이트 필요성과 유의점

업데이트 필요성과 유의점리눅스 시스템에서 업데이트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보안 패치: 운영 체제와 소프트웨어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보안 취약점이 발견됩니다. 업데이트를 통해 이러한 취약점을 수정하고, 시스템을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보안 패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해킹이나 악성 소프트웨어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2. 버그 수정: 소프트웨어나 커널의 버그가 발견될 때, 업데이트는 이를 해결합니다. 이러한 버그는 시스템 성능 저하나 비정상적인 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데이터 손실이나 시스템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새로운 기능 추가: 업데이트는 기존 기능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도 합니다. 이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

[리눅스 시스템] update와 upgrade

update와 upgrade 리눅스 시스템에서 update와 upgrade는 패키지 관리에 사용되는 명령어로,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두 명령어를 이해하는 것은 시스템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중요합니다. update update 명령어는 패키지 관리자가 사용 가능한 패키지의 최신 정보를 가져오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패키지 관리자(예: apt 또는 yum)는 각 패키지의 최신 버전에 대한 정보를 로컬 캐시에 저장합니다. 실제로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를 변경하거나 업그레이드하지는 않습니다. 명령어 예시 sudo apt update 동작 원격 저장소(repository)에서 패키지 목록을 다운로드하여 로컬에 저장합니다. 패키지 목록은 각 패키지의 최신 버전 정보와 종속..

리눅스 최근 이슈 정리

리눅스 최근 이슈 정리최근 Linux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이슈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요 이슈를 몇 가지로 나누어 소개하겠습니다.1. Linux 커널 6.x 릴리스최신 커널 6.x 시리즈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능과 개선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릴리스에서는 프로세스 스케줄러와 메모리 관리의 최적화, 하드웨어 지원 강화(특히 AMD 및 Intel의 최신 CPU 및 GPU 지원), 보안 기능 향상 등이 있습니다.특히 Rust 언어를 커널 개발에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눈에 띕니다. Rust의 안전한 메모리 관리 기능을 통해 커널 보안을 강화하려는 시도는 많은 개발자와 사용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2. 시스템 보안 및 보안 취약점최근 몇 달 동안 Linux 시스템과 관련..

리눅스 파티션

리눅스 파티션은 리눅스 시스템의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들 파티션은 하드 드라이브나 SSD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부분으로 나누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시스템 자원을 최적화하며, 높은 수준의 데이터 보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파티션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루트) 파티션: 이 파티션이 리눅스 시스템의 핵심입니다. 운영체제와 시스템 파일을 저장하며, 이 파티션에 문제가 발생하면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home 파티션: 사용자 데이터와 개인 설정이 저장되는 곳입니다. 사용자가 생성하는 모든 파일이 이곳에 저장됩니다. /boot 파티션: 시스템 부트 로더와 커널 이미지가 저장됩니다. 이 파티션에 문제가 생기면 시스템이 ..

리눅스마스터 1801회 1차 061-070

1801회 1차 061-070 061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가상머신을 손쉽게 시작 및 종료할 수 있고, 가상머신의 CPU 사용량, 호스트 CPU 사용량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GUI 기반의 도구이다. ① virsh ② xm ③ virt-manager ④ virt-top 오답노트 더보기 _ virsh: 텍스트 기반의 콘솔 환경에서 가상머신을 관리해 주는 도구로 생성, 시작, 재시작, 종료, 강제 종료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_ xm: Xen을 관리하는 명령어이다. _ virt-top: 가상화 현황을 top과 유사한 형식으로 출력한다. 답은 ③ virt-manager 062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중 접근 금지 오류가 발생됐다. 다음 중 이에 해당하는 HTTP 상태 코드 번호로 알맞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