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한글(ibus-hangul) 사용
리눅스에서 ibus-hangul을 이용해 한글을 사용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여러 배포판(Ubuntu, Budgie, Linux Mint 등)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입니다. 리눅스를 설치하고 제일 먼저 최고관리자 root의 비밀번호부터 설정합니다. 어떤 경우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사'는 최고관리자 'root'입니다. 최고관리자 비번을 설정하는 것은 설치하면서 등록한 자신의 계정으로 가능합니다.
한글 설정
한글을 사용하는 우리 입장에서는 한글을 사용할 수 있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글 입력기를 설치하기 전에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합니다. 이어서 입력기 프레임워크와 한글 입력 모듈을 설치합니다.
ibus 설정 실행 및 데몬 시작
ibus 설정 실행 및 데몬을 시작합니다. 명령은 'ibus-setup'입니다. GUI 환경으로 입력기 설정이 다음과 같이 등장합니다. 다른 입력기는 없어도 상관없습니다. 아래와 같이 태극문양의 'Hangul'을 추가합니다. 입력기 '한/영 전환'은 'Shift - Space'가 가장 편합니다. 두 손으로 타이핑하면서 쉽게 '한/영'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기본이 'Shift - Space'입니다.
아래와 같이 태극 문양 없이 'Korean(Hangul)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패키지에 따라 다르지만 결과는 마찬가지로 같습니다. 아래는 Ubuntu Budgie에서 설정한 입력기 화면입니다.
한글 모듈에서는 '한/영' 모두 지원되기 때문에 다른 모듈은 없어도 됩니다. 선택하여 제거하면 더 깨끗합니다. 데스크톱에서는 '태극문양'의 아이콘이 대기하면서 '한/영'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정리
리눅스에서 '한글 사용'은 매우 중요합니다. GUI 환경에서 쉽게 설정할 수 있는 패키지 많지만 적용이 잘 안되는 경우는 입력기 프레임워크와 한글 입력 모듈 설치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Linuxpia > 데스크톱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Budgie와 Linux Mint MATE 비교 (4) | 2025.03.31 |
---|---|
Wayland 환경에 대한 이해와 특징 (5) | 2025.03.27 |
Fcitx 입력기: 개요와 어원, 그리고 활용법 (6) | 2025.03.26 |
리눅스 민트(Linux Mint)에서 한글 입력기 설치 및 설정 (6) | 2025.03.25 |
Rocky 리눅스에서 Opera 웹 브라우저 설치 (4)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