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buntu Budgie와 Linux Mint MATE 비교
– 두 가볍고 직관적인 리눅스 배포판의 차이점과 선택 기준 –
리눅스는 일반적으로 서버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최근 리눅스 시스템에는 개인이 데스크톱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가 있습니다. 그중 Ubuntu 계열의 개인 PC용 Budgie와 LinuxMint의 Mate를 비교해 봅니다.

1. 개요 비교
두 시스템 개요 비교 | ||
항목 | Ubuntu Budgie | Linux Mint MATE |
기반 | Ubuntu (데비안 기반) | Ubuntu (데비안 기반) |
데스크탑 환경 | Budgie | MATE |
철학 | 심플하고 현대적인 데스크탑 | 고전적이고 가벼운 데스크탑 |
기본 UI 스타일 | 모던한 GNOME 스타일 | 클래식한 GNOME 2 스타일 |
자원 소모 | 비교적 가벼움 | 매우 가벼움 |
초보자 친화도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2. 데스크톱 환경의 차이
✅ Budgie (Ubuntu Budgie)
- Solus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현대적인 데스크탑 환경
- Raven 패널을 통한 알림과 설정 관리
- 직관적인 디자인 + 현대적 UI 구성
- 커스터마이징은 제한적이지만 깔끔하게 정돈된 느낌
✅ MATE (Linux Mint MATE)
- GNOME 2를 계승한 전통적인 데스크탑 환경
- 익숙한 시작 메뉴와 작업 표시줄
- 고성능이 아닌 컴퓨터에서도 매우 부드럽게 작동
- 커스터마이징 자유도가 높고 안정성도 뛰어남
3. 시스템 자원 사용 비교
시스템 자원 비교 | ||
항목 | Ubuntu Budgie | Linux Mint MATE |
메모리 사용량(부팅 직후) | 약 700~800MB | 약 400~500MB |
CPU 점유율 | 낮음 | 매우 낮음 |
디스크 설치 용량 | 약 7~8GB | 약 6~7GB |
성능 체감 | 빠름 | 매우 빠름 |
※ 저사양 PC(예: 구형 노트북)에는 MATE가 조금 더 유리함
4. 사용자 경험
Ubuntu Budgie
- 직관적이고 미려한 UI 덕분에 디자인에 민감한 사용자에게 적합
- Raven 패널과 패널 설정 등 UI 경험이 현대적임
- GNOME과 유사한 환경이므로 윈도우보다 맥에 가까운 사용감
Linux Mint MATE
- 윈도우 7 같은 클래식 UI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잘 맞음
- 매우 빠르고 안정적이며, 기능 배치가 전통적이어서 헷갈림이 적음
- "시작 메뉴-프로그램-시스템 도구" 같은 구조가 친숙함
5. 커뮤니티와 지원
항목 | Ubuntu Budgie | Linux Mint MATE |
공식 포럼 | Ubuntu Forums, Budgie 포럼 | Linux Mint 커뮤니티 |
업데이트 주기 | 2년마다 LTS / 중간 릴리스 존재 | 2년마다 안정된 버전 제공 |
한글화 | 우수 | 매우 우수 |
사용자 수 | 중간 수준 | 매우 많음 (Mint 전체 기준) |
6. 추천 대상
Ubuntu Budgie 추천
- 모던한 UI를 선호하는 사용자
- 윈도우에서 맥 스타일로 넘어오고 싶은 사용자
- 세련된 인터페이스를 좋아하지만 복잡한 설정은 싫은 분
-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중고급 사용자
Linux Mint MATE 추천
- 전통적이고 안정된 데스크톱 환경을 원하는 사용자
- 윈도우 XP/7의 익숙한 사용 방식이 편한 분
- 저사양 PC나 오래된 하드웨어 사용자
- 리눅스를 처음 사용하는 초보자 또는 시니어
7. 요약정리
요약 정리 | ||
항목 | Ubuntu Budgie | Linux Mint MATE |
디자인 | 모던, 깔끔 | 클래식, 친숙 |
무게감 | 가볍다 | 더 가볍다 |
적응 난이도 | 쉬움 | 더 쉬움 |
추천 대상 | 젊은 사용자, 미려한 UI 선호자 | 시니어, 초보자, 저사양 PC 사용자 |
결론
두 배포판 모두 훌륭하며 초보자 친화적입니다.
외형적 세련됨과 현대적 감각을 원하면 Ubuntu Budgie,
안정성과 속도, 익숙한 조작 방식을 원하면 Linux Mint MATE를 선택하면 좋습니다.
시니어 사용자이시라면 Linux Mint MATE가 더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배포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둘 다 USB 부팅 후 ‘라이브 체험’이 가능하니 직접 써보시고 결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반응형
'Linuxpia > 데스크톱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한글(ibus-hangul) 사용 (4) | 2025.04.01 |
---|---|
Wayland 환경에 대한 이해와 특징 (5) | 2025.03.27 |
Fcitx 입력기: 개요와 어원, 그리고 활용법 (6) | 2025.03.26 |
리눅스 민트(Linux Mint)에서 한글 입력기 설치 및 설정 (6) | 2025.03.25 |
Rocky 리눅스에서 Opera 웹 브라우저 설치 (4)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