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렉터리 스택(directory stack) 기능
리눅스에서 디렉터리 스택(directory stack) 기능은 pushd, popd, dirs 명령어를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한 디렉터리를 기억하거나 돌아가고자 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주로 셸 환경에서 제공되며, 특히 bash나 zsh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 주요 명령어 요약
명령어 | 기능 설명 |
pushd [디렉터리] | 현재 디렉터리를 스택에 저장하고,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 |
popd | 스택에서 디렉터리를 꺼내 그 위치로 이동 |
dirs | 현재 디렉터리 스택 내용을 보여줌 |
✅ 사용 예시
1. pushd – 디렉터리 저장 후 이동
$ pwd
/home/user
$ pushd /etc
/etc /home/user
$ pwd
/etc
→ /etc로 이동하면서 /home/user는 스택에 저장됩니다.
2. popd – 마지막 디렉터리로 돌아가기
$ popd
/home/user
$ pwd
/home/user
→ 스택에서 마지막 디렉터리를 꺼내 그 위치로 이동합니다.
3. dirs – 현재 디렉터리 스택 보기
$ dirs
/home/user /etc /var
→ 가장 왼쪽이 현재 디렉터리, 오른쪽이 이전에 저장된 경로입니다.
✅ 활용 팁
- 자주 이동하는 디렉터리가 있을 때 유용합니다.
- 스크립트 내에서 디렉터리 변경 후 다시 돌아올 때도 많이 씁니다.
예:
pushd /tmp
# 임시 작업 수행
popd # 원래 디렉터리로 복귀
✅ 정리
- pushd로 저장 + 이동
- popd로 복귀
- dirs로 목록 확인
단순한 cd보다 더 복잡한 경로 이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셸을 능숙하게 다루려는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반응형
'Linux > 리눅스 시스템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c 디렉터리는 /dev 및 /sys 비교 (1) | 2025.07.03 |
---|---|
리눅스에서 /dev와 /sys 디렉터리 (1) | 2025.07.02 |
패키지 관리 도구, dnf와 apt (1) | 2025.05.20 |
VMware에서 USB를 가상머신(리눅스)에 연결하는 요령 (2) | 2025.04.28 |
리눅스에서 컴퓨터 이름과 계정명 변경 (3)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