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이 읽기 쉬운 데이터 형식의 파일, yaml 파일
YAML은 "YAML Ain’t Markup Language"의 줄임말로, 주로 설정(configuration) 파일을 작성할 때 사용되며, 특히 Python, Docker, Kubernetes, GitHub Actions, code-server 같은 시스템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 YAML 파일의 기본 구조
YAML은 들여쓰기로 구조를 표현하며, 탭(Tab)이 아니라 공백(Space)으로 들여씁니다.
기본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석은 이렇게 작성합니다
key: value # 기본 형태
name: easyfly # 문자열
port: 8080 # 숫자
enabled: true # 불리언
items: # 리스트
- apple
- banana
- cherry
config: # 딕셔너리 (중첩 구조)
user: admin
pass: 1234
🖥️ code-server의 config.yaml 예시
code-server에서 사용하는 ~/.config/code-server/config.yaml은 code-server의 작동 방식을 설정합니다.
예시:
bind-addr: 0.0.0.0:8080 # 외부 접속 허용 (포트 8080)
auth: password # 인증 방식 (none, password 등)
password: yourpassword123 # 비밀번호 설정
cert: false # SSL 인증서 사용 안 함
📁 config.yaml 파일 위치와 역할
- 위치: ~/.config/code-server/config.yaml
- 역할: code-server가 실행될 때 이 설정을 읽어서 포트, 인증방식, 접근 IP 등을 결정합니다.
⚠️ YAML 주의사항
- 탭 사용 금지 → 반드시 공백(space) 사용
- 들여쓰기 중요 (계층 구조를 구분하는 기준입니다)
- 콜론(:) 뒤에는 공백이 꼭 있어야 합니다
(예: bind-addr: 0.0.0.0 ← OK, bind-addr:0.0.0.0 ← 오류)
📌 요약
항목 | 내용 |
확장자 | .yaml 또는 .yml |
용도 | 설정 파일, 구성 정보 관리 |
특징 | 사람이 읽기 쉽고 들여쓰기로 계층 표현 |
주 사용처 | 서버 설정, 도커, 깃허브 액션, 코드서버 등 |
주의사항 | 탭 대신 스페이스, 들여쓰기 주의 |
반응형
'Linuxpia > 리눅스 사용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령어 `sed`의 사용 사례 (3) | 2025.07.05 |
---|---|
문자열 찾는 지혜로운 방법 (7) | 2025.07.04 |
GPL (GNU General Public License)의 버전별 특징 (2) | 2025.04.28 |
리눅스 터미널에서 비디오 파일을 바로 실행 (6) | 2025.04.15 |
Opera 브라우저를 리눅스(Ubuntu/Debian 기반) 시스템에 설치 (6)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