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4

리눅스에서 /dev와 /sys 디렉터리

리눅스에서 /dev와 /sys 디렉터리는 모두 시스템 장치와 관련되어 있지만, 목적과 사용 방식에 있어 뚜렷한 차이를 지닙니다. 다음은 이 두 디렉터리의 역할과 차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입니다./dev: 장치 파일 (Device Files)목적: 하드웨어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장치 파일(device file) 을 저장.역할:장치를 파일처럼 취급하여 프로그램이 입출력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제공.예: /dev/sda, /dev/tty, /dev/null 등.특징:실제 파일이 아니라 가상 파일로, 커널이 제공하는 장치 드라이버와 연결됨.udev라는 장치 관리자가 핫플러그(hotplug) 이벤트에 따라 장치 파일을 자동 생성/삭제.종류:문자 장치 (Character device): /dev/tty, /..

Rocky Linux에서 키보드 설정 방법

🇰🇷 Rocky Linux에서 키보드 설정 방법Rocky Linux에서 키보드 레이아웃을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방법은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와 명령줄(CLI)을 통해 가능합니다.1. 명령줄(Terminal)에서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 임시로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 (재부팅 시 초기화됨)setxkbmap 🇺🇸 영어(미국):setxkbmap us🇰🇷 한국어:setxkbmap kr🔧 영구적으로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 방법 A: localectl 사용 (권장 방법)sudo localectl set-keymap 🇺🇸 영어(미국):sudo localectl set-keymap us🇰🇷 한국어:sudo localectl set-keymap kr🔍 현재 키보드 설정 확인:localectl sta..

리눅스온보드 Linux Onboard

Linux Onboard 내 리눅스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화상 보드. '리눅스 온보드' 내가 사용하는 리눅스 시스템은 구닥다리 노트북이다. 친구가 3년전 사용할 수 없다고 버린 것을 리눅스를 깔아 쓴다. '쓴다'는 표현은 좀 그렇다. 그냥 리눅스 깔았다 지웠다 한다. 32비트 버전으로. 키보드 키 열다섯 개는 먹히지 않는다. 피시 키보드를 연결하면 해결! 그러다가 그런 키보드도 없으면 화상키보드를 쓴다. 아이콘을 작업 패널에 올려 사용하면 편하다. 문제는 로그인 암호를 입력할 때다. 그래서 먹히는 키를 조합해 로그인 암호로 쓴다. 이래뵈도 요즘 노트북이 할 수 없는 일을 이 녀석은 한다. CD나 DVD를 돌릴 수 있다. VGA연결도 가능하다. 이래뵈도 메모리는 4GIGA. 제법 쏠쏠하다. 64비트 리눅스가..

Linux 2021.12.14

Linuxpia

Linuxpia 리눅스피아! 리눅스를 시작한지가 벌써 30년. 해직되어 족발 장사를 하면서 아르바이트 학생이 공부하는 리눅스를 같이 하면서부터입니다. 교사 재직중에는 리눅스로 서버를 구축하는 작업을 많이 했습니다. 또한 정보 담당 선생님들 대상 리눅스 교육도 여러번 맡았구요.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리눅스를 여러 사람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부족하지만 '공부하는 마음'으로 포스팅하겠습니다.

Linuxpia 2021.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