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온프레미스(On-Premise), 클라우드와 비교

Linuxpia4U 2025. 5. 28. 16:57
반응형

온프레미스(On-Premise)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등의 IT 인프라를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직접 설치·운영·관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온프레미스'는 영어로 ‘On the Premises’, 즉 자체 건물 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클라우드에 연결된 터미널


✅ 온프레미스의 특징

1. 물리적 장비 소유

  • 기업이 서버, 스토리지, 라우터, 방화벽 등을 직접 구매하고,
  • 사내 전산실 또는 데이터센터에 설치하여 사용합니다.

2. 보안성과 통제력

  • 시스템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보안성이 높고,
  • 모든 인프라와 데이터를 완전하게 통제할 수 있습니다.

3. 초기 투자 비용(캡엑스, CAPEX)이 큼

  • 서버 구매, 네트워크 장비, 공간 확보, 냉방/전원 시설 등 많은 초기 비용이 듭니다.
  • 유지보수 비용도 자체 부담입니다.

4. 커스터마이징 용이

  •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사용 목적에 맞게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 특정 산업(예: 금융, 의료, 정부)에서 요구되는 **규정 준수(Compliance)**에 유리합니다.

✅ 온프레미스 vs 클라우드 비교

항목 온프레미스(On-Premise)  클라우드(AWS, Azure 등)
설치 위치 회사 내부 클라우드 사업자 데이터센터
초기 비용 매우 높음 (CAPEX) 낮음 또는 없음 (OPEX)
유지보수 자체 인력 클라우드 사업자
확장성 느리고 비용 큼 빠르고 유연함
보안 통제 기업 자체 통제 클라우드 보안 정책 따름
장애 복구 자체 대비 필요 자동 백업 및 복구 가능

✅ 어떤 경우에 온프레미스를 선택할까?

  • 내부 보안 정책이 매우 강력하거나, 외부 클라우드 사용이 법적으로 제한되는 경우
    (예: 군사, 금융, 병원, 국가기관 등)
  • 기존 시스템이 온프레미스 기반이라 클라우드 전환이 어렵거나 비용이 큰 경우
  • 사용자 수나 트래픽이 예측 가능하고, 확장이 자주 필요하지 않은 경우

✅ 정리

  • 온프레미스는 자사 내부에 IT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은 보안과 통제력, 단점은 높은 초기비용과 유지 부담입니다.
  • 최근에는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도 많이 사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