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클라우드(Cloud)
서버·스토리지·데이터베이스·네트워크·소프트웨어 등 IT 자원을 인터넷을 통해 빌려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즉, 컴퓨터 자원을 '내가 직접 갖고 있지 않고', 원격으로 접속해서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 클라우드의 정의
클라우드는 사용자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직접 설치하지 않아도,
필요한 만큼만 인터넷을 통해 빌려 쓸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 예: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GCP) 등
-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만’ 쓰고 요금을 지불하는 유틸리티형 IT 서비스
✅ 클라우드의 주요 특징
1. 온디맨드(On-Demand)
- 언제든지 필요한 자원을 빠르게 생성하고 사용할 수 있음
2. 유연한 확장성(Scalability)
- 사용자 수나 데이터량이 늘어나면 클릭 몇 번으로 자원을 확장 가능
3. 사용량 기반 요금제 (Pay-as-you-go)
-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함 (초기 투자비용이 없음)
4. 접근성
- 인터넷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 (재택근무, 협업 등 유리)
✅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구분 | 설명 | 예시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가상 서버, 저장소, 네트워크 등 기본 인프라 제공 | Amazon EC2, Google Compute Engine |
PaaS(Platform as a Service) |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 제공 | Heroku, Google App Engine |
SaaS(Software as a Service) |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 | Gmail, Microsoft 365, Dropbox |
✅ 온프레미스 vs 클라우드 간단 비교
항목 |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
설치 장소 | 사내 서버실 | 클라우드 제공자 서버 |
비용 구조 | 초기 구축비용 큼 | 사용량에 따라 요금 지불 |
확장성 | 느리고 복잡 | 빠르고 간편 |
유지보수 | 직접 관리 | 클라우드 업체가 관리 |
접근성 | 제한적 | 언제 어디서나 가능 |
예시 | 사내 데이터센터 | AWS, Azure, GCP |
✅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이유
- 비용 절감: 장비 구입 및 유지비 절감
- 빠른 배포: 서비스 출시 속도 단축
- 글로벌 확장: 해외 고객에게도 빠른 서비스 제공 가능
- 데이터 백업과 복구가 쉬움: 안정적인 관리와 재해 복구
✅ 정리
- 클라우드란, IT 자원을 인터넷을 통해 대여해 사용하는 서비스입니다.
- 장비 구입 없이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유지보수는 제공업체가 담당합니다.
- 클라우드는 오늘날 대부분의 기업, 학교, 정부, 개인에게 표준 IT 환경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반응형
'Linux >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Amazon Web Services)와 Google Cloud Platform(GCP) (4) | 2025.05.31 |
---|---|
AWS(Amazon Web Services)의 주요 서비스 분야 (3) | 2025.05.30 |
온프레미스(On-Premise), 클라우드와 비교 (1) | 2025.05.28 |
AWS EC2 인스턴스에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외부에서 SSH 접근 (2) | 2025.05.27 |
SSH 로컬 포트 포워딩하여 Flask 서버 접속 (4)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