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

easyfly 2025. 10. 22. 11:31
반응형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은 크게 유니캐스트(Uni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세 가지로 나뉩니다. 이들은 각각 1:1, 1:그룹, 1:전체 통신 방식을 의미합니다.


유니캐스트 (Unicast)

유니캐스트특정 대상 한 명에게만 데이터를 보내는 1:1 통신 방식입니다.

  • 설명: 현실 세계의 편지1:1 카톡 대화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보내는 사람이 받는 사람의 주소를 정확히 지정하여 보내면, 네트워크상의 수많은 장비 중 오직 해당 주소를 가진 장비만이 데이터를 받습니다.
  • 특징: 가장 일반적인 통신 방식으로, CPU에 부하를 가장 적게 줍니다.
  • 사용 예:
    • 웹사이트 접속 (내 컴퓨터와 웹 서버의 1:1 통신)
    • 파일 다운로드
    • 온라인 게임에서의 개인 메시지

멀티캐스트 (Multicast)

멀티캐스트특정 그룹에 속한 다수에게만 데이터를 보내는 1:그룹 통신 방식입니다.

  • 설명: 단체 카톡방이나 그룹 이메일과 비슷합니다. 특정 그룹(단체 카톡방)에 가입한 사람들에게만 메시지가 전달되고, 그룹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은 받지 못합니다.
  • 특징: 유니캐스트로 여러 명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보낼 때보다 네트워크 효율성이 훨씬 뛰어납니다. 데이터를 한 번만 보내면 그룹에 속한 모두에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 사용 예:
    • IPTV (실시간 TV 방송, 특정 채널을 시청 신청한 그룹에게만 영상 전송)
    • 온라인 게임 (같은 게임 세션에 있는 플레이어들에게만 위치 정보 전송)
    • 증권 시세 실시간 중계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브로드캐스트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대상에게 데이터를 보내는 1:전체 통신 방식입니다.

  • 설명: 학교 전체 방송이나 재난 경보 문자처럼, 받는 사람을 특정하지 않고 모두에게 같은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
  • 특징: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비는 이 메시지를 받아야 하므로, 너무 자주 사용하면 네트워크에 큰 부하(트래픽)를 줄 수 있습니다.
  • 사용 예:
    • 네트워크에 새로운 장비를 연결했을 때, 자신의 주소를 알리기 위해 (ARP 요청)
    • DHCP 서버가 새로운 기기에 IP 주소를 할당해 줄 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