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프로토콜(Protocol)

easyfly 2025. 10. 23. 11:33
반응형

프로토콜(Protocol)은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끼리 서로 통신하기 위해 정해 놓은 약속이자 규칙 체계입니다.

사람들이 대화하려면 같은 언어를 써야 하는 것처럼, 기계들도 원활하게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공통된 규칙이 필요합니다. 프로토콜이 바로 이 '기계들의 언어' 역할을 합니다. 


왜 프로토콜이 필요한가?

전 세계의 수많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은 제조사, 운영체제(OS),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모두 다릅니다. 만약 각자 자기만의 방식으로 통신한다면 서로의 데이터를 전혀 이해할 수 없을 것입니다.

프로토콜은 이러한 혼란을 막기 위해 데이터의 형식, 전송 방식, 오류 처리 방법 등을 표준화하여 기종에 상관없이 모든 기기가 소통할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프로토콜의 주요 역할

프로토콜은 통신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들을 정의합니다.

  • 주소 지정 (Addressing): 데이터를 보낼 상대방을 정확히 찾아갈 수 있도록 주소(IP 주소 등)를 지정하는 규칙.
  • 순서 제어 (Sequencing): 큰 데이터를 작은 조각(패킷)으로 나누어 보낼 때, 받는 쪽에서 원래 순서대로 재조립하는 규칙.
  • 흐름 제어 (Flow Control): 데이터를 받는 쪽의 처리 속도에 맞춰 보내는 쪽에서 데이터 양을 조절하는 규칙.
  • 오류 제어 (Error Control):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한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거나 재전송을 요청하는 규칙.
  • 캡슐화 (Encapsulation): 데이터에 주소, 오류 제어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덧붙여 포장하는 규칙.

대표적인 프로토콜의 예시

우리는 이미 일상에서 수많은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HTTP/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Secure): 웹사이트 문서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약속. 우리가 인터넷 주소창에 https://...를 입력하는 것이 바로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인터넷 통신의 근간이 되는 가장 중요한 프로토콜 모음. 데이터 분할, 주소 지정, 경로 설정 등 인터넷 동작의 핵심 규칙을 담고 있습니다.
  •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이메일을 보낼 때 사용하는 약속.
  • FTP (File Transfer Protocol):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파일을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약속.
  • Wi-Fi (Wireless Fidelity): 무선 인터넷 공유기(AP)와 기기들이 통신하는 규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