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트워크 연결 방식 이해
우분투 가상머신을 개발 환경으로 사용할 때 가장 먼저 이해해야 할 요소가 네트워크 연결 방식입니다. 네트워크 설정은 호스트와 가상머신 간 통신 범위를 결정하며, 웹 서버 테스트나 DB 접속, 외부 인터넷 사용, 로컬 개발 환경 구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VMware는 크게 세 가지 네트워크 모드를 제공합니다. 각 방식의 특징과 활용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가상머신이 호스트의 네트워크를 공유하되, 독립된 내부 IP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VM이 외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고, 호스트는 설정에 따라 VM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포트 포워딩을 통해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 특정 포트만 개방하여 보안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장점
- 기본 설정만으로 인터넷 연결 가능
- 외부 네트워크와 격리되어 안전함
- 포트 포워딩으로 선택적 접근 제어 가능
활용 상황
- 로컬 개발 환경에서 Django, Flask, FastAPI 서버 테스트
-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안전한 개발 환경 구축
● 브리지(Bridged Networking)
가상머신을 실제 LAN 네트워크에 독립된 장비처럼 참여시키는 방식입니다.
VM이 호스트와 같은 네트워크 대역의 IP를 받기 때문에, 호스트뿐 아니라 같은 네트워크의 다른 장비에서도 접속할 수 있습니다.
장점
- 포트 포워딩 없이 직접 접근 가능
- 로컬 네트워크 내 테스트 및 다른 장치 접속 용이
활용 상황
- 스마트폰이나 다른 PC에서 VM 웹 서비스 테스트
- 사설 서버 환경 모의 구축
- 사무실 내부망 기반 개발 및 테스트
● Host-Only Network
호스트와 가상머신만 통신하고 외부 인터넷 연결은 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독립된 내부망으로 동작하여 실험 환경이나 보안 영역 구축에 적합합니다.
장점
-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완전 격리
- 실습 및 보안 연구 환경에 적합
활용 상황
- 보안 실습 및 모의 해킹 연구
- 외부 접근 차단된 DB 서버 환경 구성
- 민감 정보 처리 테스트
● 네트워크 방식 선택 가이드
| 목적 | 추천 방식 |
| 외부 인터넷 필요 없는 안전한 실험 | Host-Only |
| 로컬에서 웹 개발 및 테스트 | NAT |
| 다른 기기에서도 테스트(모바일, PC 등) | 브리지 |
일반적인 웹 개발 학습이라면 NAT + 포트 포워딩 조합이 가장 안전하고 편리합니다.
브리지는 네트워크가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필요할 때만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Linuxpia > 리눅스 사용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VMware] 호스트와 가상머신 사이에 자유로운 소통 (2) | 2025.10.31 |
|---|---|
| wget과 curl의 차이 (1) | 2025.09.05 |
| 사람이 읽기 쉬운 데이터 형식의 파일, yaml 파일 (9) | 2025.07.08 |
| 명령어 `sed`의 사용 사례 (3) | 2025.07.05 |
| 문자열 찾는 지혜로운 방법 (7)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