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유 폴더(Shared Folder)
공유 폴더는 호스트와 우분투 가상머신 사이에서 파일을 빠르고 간편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특히 코드 파일, 문서, 이미지, 데이터셋 등을 자주 이동해야 하는 개발 환경에서 반드시 활용할 기능입니다. 별도의 네트워크 전송 명령 없이도 마치 같은 PC 안의 폴더처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 공유 폴더의 핵심 개념
- 호스트 PC에 특정 폴더를 지정하면
- VMware가 해당 폴더를 우분투 VM 내부에 연결해 줍니다.
- VM에서 접근하면 파일 읽기·쓰기·편집이 가능합니다.
즉, 호스트에서 편집 → VM에서 실행이라는 개발 루틴이 매우 편리해집니다.
● 설정 방법 (VMware Workstation 기준)
- VMware에서 해당 VM 선택
- Settings(설정) 클릭
- Options 탭 이동
- Shared Folders 선택
- Always enabled 체크
- Add… 버튼 → 공유할 로컬 폴더 선택
선택 시 권장 옵션
- Enable this share
- Read-write 모드 유지 (개발 환경이므로 편집 필요)
● 우분투에서 공유 폴더 접근
공유 폴더는 일반적으로 다음 위치에 자동 마운트됩니다.
/mnt/hgfs/
이 안에 호스트에서 지정한 폴더명이 나타납니다. 즉,
cd /mnt/hgfs
ls
를 입력하면 공유된 폴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폴더가 보이지 않는다면 다음 여부를 점검합니다.
- VMware Tools 또는 open-vm-tools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open-vm-tools open-vm-tools-desktop
설치 후 재부팅:
sudo reboot
● 활용 예시
| 상황 | 사용 방식 |
| 코드 편집 | VS Code(호스트)에서 파일 작성 → VM에서 실행 |
| 데이터 작업 | 호스트에서 CSV·이미지 넣기 → VM에서 분석 |
| 문서 작업 | 호스트 엑셀, 한글 파일을 VM과 공유 |
| 프로젝트 기록 및 백업 | VM 작업 내용을 호스트 폴더에 자동 동기화 |
개발자가 가장 흔히 사용하는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호스트 VS Code로 코드 작성
- 공유 폴더에 저장
- 우분투 VM 터미널에서 실행 및 테스트
이 방식은 속도, 안정성, 편의성 모두 우수합니다.
● 주의 사항
- 공유 폴더가 자동 마운트되지 않을 경우 Tools 설치 여부 확인
- 권한 문제 발생 시 다음 명령 사용 가능
sudo chmod -R 777 /mnt/hgfs
(개발용 환경에서만 추천)
- 민감 데이터는 공유 폴더 대신 SCP 또는 Git 사용 권장
● 추천 활용 팁
- 프로젝트 디렉터리를 공유 폴더로 지정
- VM 내부에 별도 workspace 폴더를 두지 말고 공유 폴더 사용
- 대용량 파일은 Ubuntu 내부 디스크로 옮긴 후 처리
간단한 개발 루틴 예시:
Host VSCode (개발)
→ 공유폴더 저장
→ VM에서 Python/Node/Django 실행 테스트
→ 브라우저로 결과 확인
이 흐름이 가장 효율적인 우분투 개발 구조입니다.
반응형
'Linuxpia > 리눅스 사용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CP 및 SFTP 파일 전송 (0) | 2025.11.12 |
|---|---|
| 클립보드 공유 및 Drag & Drop (3) | 2025.11.10 |
| SSH 원격 접속과 VS Code 연동 (1) | 2025.11.05 |
| 포트 포워딩 설정 (2) | 2025.11.03 |
| 네트워크 연결 방식 (3) | 2025.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