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33

[리눅스마스터] 프로세스 우선순위

문제 25다음 중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틀린 것은?1. top2. jobs3. nice4. renice해설각 명령어의 기능1. top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우선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실행 중 r을 입력하면 특정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옵션이 나타납니다.따라서 올바른 명령어입니다.2. jobs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작업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기능은 없습니다.따라서 틀린 명령어입니다.3. nice새로운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예: nice -n 10 command여기서 -n 옵션은 우선순위를 나타내며, 기..

[리눅스마스터] 압축 파일에 추가 옵션과 목록 출력

문제 24다음은 기존에 생성되어 있는 backup.tar 파일에 추가로 파일을 묶은 후에 확인하는 과정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tar (ㄱ) backup.tar lin.txt joon.txt# tar (ㄴ) backup.tar1. ㄱ: cvf, ㄴ: tvf2. ㄱ: tvf, ㄴ: rvf3. ㄱ: rvf, ㄴ: tvf4. ㄱ: cvf, ㄴ: rvf해설tar 명령어 옵션1. c: 새로운 tar 파일을 생성합니다.2. r: 기존 tar 파일에 파일을 추가합니다.3. v: 처리 과정을 상세하게 출력합니다.4. t: tar 파일의 내용(목록)을 확인합니다.5. f: 특정 파일 이름을 지정합니다.파일별 분석1. # tar (ㄱ) backup.tar lin.txt joon.txtbackup..

[리눅스마스터] 압축 여러 방법

문제 23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tar (ㄱ) xvf httpd-2.2.34.tar.bz2# tar (ㄴ) xvf php-5.36.tar.xz# tar (ㄷ) xvf mysql-boost-5.7.22.tar.gz보기:1. ㄱ: z, ㄴ: j, ㄷ: J2. ㄱ: z, ㄴ: J, ㄷ: j3. ㄱ: J, ㄴ: j, ㄷ: z4. ㄱ: j, ㄴ: J, ㄷ: z해설tar 명령어와 옵션tar 명령은 파일 압축 및 압축 해제 작업을 수행하며, 압축 형식에 따라 다음 옵션을 사용합니다:z: gzip 압축 형식 (.gz)j: bzip2 압축 형식 (.bz2)J: xz 압축 형식 (.xz)각 파일별 분석1. httpd-2.2.34.tar.bz2확장자: .bz2압축 형식: bzip2사용 옵션: j2..

[리눅스마스터] 사용자 관리

문제 22다음과 같이 /etc/passwd 파일만으로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였으나 보안상의 문제로 인해 다시 /etc/shadow 파일에 사용자 패스워드를 관리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root@www ~]# grep ihduser /etc/passwdihduser:$6$uB9Mnu9s$dcj919D3X4nfqjtDEIghpm5Gw3cPGjUxXgq53voTvLQ2sAtUPW3wCoEtPuBAkNbLbaUebIqX9mGHPQ.G4mthtf/:502:502:/home/ihduser:/bin/bash[root@www ~]#1. pwck2. pwconv3. pwunconv4. vipw해설/etc/passwd와 /etc/shadow의 역할/etc/passwd: 사용자 계정 정보를 관리하는 파일..

[리눅스마스터] umask 설정값 찾기

문제 21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ihduser@www ~]$ umask ( )[ihduser@www ~]$ touch a.txt[ihduser@www ~]$ mkdir aaa[ihduser@www ~]$ ls -l------w--w-. 1 ihduser ihduser 0 09:11 a.txtd----w--w-. 2 ihduser ihduser 4096 09:22 aaa1. 0112. 0223. 6444. 755해설기본 개념: umask와 권한 계산리눅스에서 새로 생성되는 파일과 디렉터리의 권한은 기본 권한에서 umask 값만큼 차감하여 설정됩니다.기본 권한:파일: 666 (읽기/쓰기 권한만, 실행 권한 없음)디렉터리: 777 (읽기/쓰기/실행 모두 허용)최종 권한 = 기본 권한 ..

[리눅스마스터] 인터넷 도메인 관련 기구

문제 20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관련 기구로 알맞은 것은?인터넷 도메인 이름, IP 주소, 프로토콜의 범주와 포트번호 할당, DNS 관련 기능 감독, 도메인 분쟁의 조율과 중재 등을 담당한다.1. ISO2. EIA3. IEEE4. ICANN해설각 기구의 역할1.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국제 표준화 기구로,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나 데이터 형식과 같은 여러 표준을 정의합니다.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습니다.2. EIA (Electronic Industries Alliance)전자 및 통신 산업 표준을 정의하는 기구입니다.하드웨어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표준(RS-232 등)을 개발하지만, 인터넷 도메인 관리와는 관련이 없습니..

[리눅스마스터] 네트워크 관련 파일

문제 19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관련 파일로 알맞은 것은?실제로 도메인을 확보하지 않았지만, 로컬 시스템에 가상의 도메인을 부여해서 서버 관련 실습을 진행하려고 한다.1. /etc/hosts2. /etc/resolv.conf3. /etc/sysconfig/network4. /etc/sysconfig/network-scripts해설각 파일의 역할1. /etc/hosts정답입니다.이 파일은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의 매핑 정보를 로컬에서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DNS 서버를 사용하지 않고도, 로컬 시스템에서 가상의 도메인을 IP 주소에 연결하여 테스트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예시:127.0.0.1 localhost192.168.0.10 example.com2. /etc/resolv.confDN..

[리눅스마스터] 서브넷 마스크 이해

문제 18다음 설명과 같을 때 설정하는 서브넷 마스크 값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C 클래스에 속한 1개의 네트워크를 할당받은 상태이다. 이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는 부서가 4곳이라 4개의 서브넷을 구성하려고 한다.1. 255.255.255.42. 255.255.255.643. 255.255.255.1284. 255.255.255.192해설C 클래스 기본 서브넷C 클래스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입니다.이는 24비트가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내고, 나머지 8비트가 호스트 부분을 나타냅니다.즉, 기본적으로 하나의 C 클래스 네트워크는 256개의 주소(2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서브넷을 4개로 나누기서브넷을 나누기 위해 호스트 비트를 네트워크 비트로 전환해야 합니다.2² = 4개의 서브넷이 ..

[리눅스마스터] 게이트웨이 주소값 확인

문제 17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에 설정된 게이트웨이의 주소 값을 확인하는 명령으로 틀린 것은?1. ip2. route3. ethtool4. netstat해설각 명령의 역할1. ipip route 명령어를 사용하면 게이트웨이 정보를 포함한 네트워크 경로(Route)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예: ip route 명령 실행 결과에서 default via 다음에 나타나는 값이 기본 게이트웨이입니다.옳은 설명입니다.2. routeroute 명령어는 네트워크 라우팅 테이블을 출력하며, 게이트웨이 정보를 포함한 경로를 보여줍니다.예: route -n 명령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옳은 설명입니다.3. ethtoolethtool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 속도, 설정 등을 확인하거나 변경하는 데 ..

[리눅스마스터] OSI 7계층

문제 16다음 중 OSI 7 계층의 하위 계층부터 상위 계층 순으로 사용하는 전송 단위를 알맞게 나열한 것은?1. bit–frame–packet–segment–data2. bit–frame–segment–packet–data3. data–segment–packet–frame–bit4. data–packet–segment–frame–bit해설OSI 7 계층(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에서 데이터 전송 단위는 각 계층마다 다르게 정의됩니다. 아래는 계층별 전송 단위를 정리한 내용입니다.OSI 계층 및 전송 단위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Bit데이터를 비트(bit) 신호로 변환하여 물리적으로 전송합니다.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