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10 3

02-03 스왑(Swap)

스왑(Swap)의 개요 시스템이 물리 메모리를 모두 소모하였을 때 스왑을 활용하면 부족한 메모리 공간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시스템이 물리 메모리를 모두 소진하고 더 많은 메모리 공간이 필요할 때 메모리상의 비활성화된 메모리를 스왑 공간으로 이동하여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는 기술을 '스왑'이라 한다. 스왑은 물리 메모리보다 액세스 속도는 느리나 가격이 저렴한 하드 용량을 사용한다. 스왑 공간은 swap partition이나 swap file 형태로 만든다. 과거에는 스왑의 크기가 RAM의 크기와 비례해서 증가했다. 요즘 시스템 RAM은 넉넉하기 때문에 스왑 공간의 크기는 시스템이 실제 사용하는 메모리의 양에 근거하여 설정하면 효과적이다. 보통 스왑 공간의 크기는 리눅스 설치 시에 결정한다. 스왑 파일 ..

02_02_파일 시스템 점검

파일 시스템 점검 fsck(file system consistency check) 파일 시스템을 점검하고 손상된 영역을 복구하는 명령어이다. 부팅할 때 특정 조건이 되면 fsck를 실행한다. 가령 파일 시스템의 일관성이 깨졌음을 의미하는 더티(dirty) 상태이거나 파일 시스템 없이 여러 번 마운트되었다면 fsck를 실행한다. 형식: fsck [option] device 옵션 -a: 사용자 확인 없이 파일 시스템을 자동으로 복구한다. -r: 파일 시스템을 복구할 때 사용자의 확인을 받는다. 다수의 fsck 명령어를 동시에 실행 중일 때 이 옵션을 사용하는 것은 불편하다. -A: /etc/fstab 파일에 정의된 모든 파일 시스템에 대하여 점검을 수행한다. -P: -A 옵션과 함께 사용할 때 루트 파일 시..

02_01_파일 시스템 관리 및 복구

파일 시스템 관리 및 복구 파일 시스템 생성의 개요 하드디스크를 새로 추가하거나 기존 하드디스크 중 아직 사용하지 않은 영역이 있다면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fdisk -l을 통해 하드디스크가 시스템에 정상적으로 인식되었는지 확인한다. 파티션 생성 fdisk 명령어로 원하는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다. mkfs 명령어로 원하는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을 한 뒤 mount 명령어로 시스템상 마운트 할 수 있다. 시스템 리부팅 후에도 계속 마운트가 유지될 수 있도록 /etc/fstab 파일에 파일 시스템을 등록한다. fdisk를 통한 파티션 관리 디스크 상에서 파티션을 생성, 삭제, 수정할 수 있다. 형식: fdisk [option] device 옵션 -l: 지정한 디스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