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17 3

[리눅스 명령어] 문서 끝부분 출력하기, tail

문서 끝부분 출력하기, tail tail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강력한 텍스트 처리 도구 중 하나입니다. 이 명령어는 파일의 끝 부분에 있는 텍스트를 출력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표시합니다. 하지만 다양한 옵션을 사용하여 이 동작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tail [옵션] [파일명] [파일명]: 읽고자 하는 파일의 이름입니다. [옵션]: tail 명령어의 동작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요 옵션 -n [숫자]: 출력할 마지막 줄의 수를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n 5는 마지막 5줄을 출력합니다. -f: 파일의 내용이 추가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추적합니다. 로그 파일을 모니터링할 때 유용합니다. --pid=[PID]: 특정 프로세스 ..

[git] 리눅스의 같은 디렉터리에서 git 브랜치 변경

리눅스의 같은 디렉터리에서 git 브랜치 변경 리눅스 시스템에서 같은 디렉터리 내에서 브랜치를 전환하는 것은 Git을 사용하는 정상적인 프로세스입니다. Git의 브랜치 기능은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해 독립적으로 여러 기능을 개발할 수 있게 해줍니다. 같은 디렉토리에서 브랜치를 전환하는 이유 작업 효율성: 프로젝트의 다른 부분들을 개발하거나, 다른 기능을 추가하거나, 버그를 수정하기 위해 여러 브랜치를 전환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같은 디렉토리에서 브랜치를 전환하면 각 브랜치에 특정한 변경사항을 적용하고, 빠르게 다른 브랜치로 이동하여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환경 유지: 프로젝트 디렉토리 안에서 브랜치를 전환하면, 개발 환경을 ..

[리눅스 팁] 파일의 무결성 확인하는 명령어, md5sum

파일의 무결성 확인하는 명령어, md5sum md5sum은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파일의 MD5 (Message-Digest Algorithm 5) 해시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MD5 해시 함수는 데이터 또는 파일의 내용을 대표하는 128비트 (16바이트) 길이의 해시 값을 생성합니다. 이 해시 값은 파일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 사용법: md5sum [옵션] [파일...] 옵션: -b: 바이너리 모드로 파일을 처리합니다 (기본적으로 텍스트 모드). -c: MD5 체크섬 파일을 읽고, 리스트에 있는 파일의 MD5를 검증합니다. -t: 텍스트 모드로 파일을 처리합니다 (기본적으로 바이너리 모드). --tag: 출력을 RFC 1321에서 권장하는 형식으로 만듭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