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명령어 167

[리눅스 명령어] 'which'와 'whereis'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which'와 'whereis'의 차이 `which`와 `whereis`는 둘 다 유닉스 및 리눅스 기반 시스템에서 특정 명령어의 위치를 찾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그러나 이 두 명령어는 작동 방식과 제공하는 정보에 차이가 있습니다. 1. `which` - 기능: `which` 명령어는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 파일의 위치를 찾아줍니다. - 출력: 시스템의 `PATH` 환경 변수에 지정된 디렉토리만을 검색하여 해당 명령어의 절대 경로를 출력합니다. - 예시: which ls 이 명령어는 `ls` 명령어의 절대 경로 (예: `/bin/ls`)를 출력합니다. 2. `whereis` - 기능: `whereis` 명령어는 바이너리 파일 뿐만 아니라 해당 명령어의 소스와 매뉴얼 페이지의 위치도 찾아줍..

[리눅스 명령어] 계정 정보 알기, id

id `id` 명령어는 사용자의 식별자(ID)와 그룹 식별자(GID) 그리고 해당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정보를 출력하는 리눅스 명령어입니다. 주요 사용법 1. 현재 사용자의 ID 정보 출력하기 id 2. 특정 사용자의 ID 정보 출력하기 id [사용자명] 3. 사용자의 UID만 출력하기 id -u [사용자명] 4. 사용자의 기본 그룹의 GID만 출력하기 id -g [사용자명] 5. 사용자가 속한 모든 그룹의 GID 출력하기 id -G [사용자명] 6. 사용자가 속한 모든 그룹의 이름 출력하기 id -nG [사용자명] 정리 `id` 명령어는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UID, GID 및 그룹 멤버십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명령어] 특정 문자(열) 검색하기, grep

특정 문자(열) 검색하기, grep `grep`은 텍스트 검색을 위한 강력한 명령어로, UNIX와 Linux 시스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는 파일 내에서 주어진 패턴이나 문자열을 검색하고 일치하는 줄을 출력합니다. `grep`은 "Global Regular Expression Print"의 약자로, 정규 표현식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grep [OPTIONS] PATTERN [FILE...] 주요 옵션 - `-i`: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검색합니다. - `-v`: 일치하지 않는 줄을 출력합니다 (부정 검색). - `-r` 또는 `-R`: 디렉터리를 재귀적으로 검색합니다. - `-l`: 일치하는 줄을 포함하는 파일 이름만 출력합니다. - `-n`: 일치하는 ..

[리눅스 명령어] 프로세스 ID를 출력하기, fuser

프로세스 ID를 출력하기, fuser `fuser`는 UNIX와 Linux에서 특정 파일 또는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유틸리티는 어떤 프로세스가 특정 자원에 액세스 하고 있는지 알아내는 데 유용하며, 파일이나 네트워크 포트를 사용 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하려는 경우에 특히 도움이 됩니다. 기본 사용법 fuser [OPTIONS] FILE or PORT/PROTOCOL 주요 옵션 - `-a`: 모든 파일을 출력합니다 (기본적으로는 사용 중인 파일만 출력됩니다). - `-k`: 식별된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 `-n SPACE`: 검색 공간을 지정합니다. 예를 들면, `file` 또는 `udp`, `tcp` 등입니다. - `-u`: 사용자 이름을 함께 출력합니다. - `-v..

[리눅스 명령어] 파일 시스템 검사하기, fsck

파일 시스템 검사하기, fsck `fsck` (File System Check)는 UNIX와 Linux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필요한 경우 복구하는 유틸리티입니다. 파일 시스템의 오류나 일관성 없는 상태를 찾아 해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부팅 중에 자동으로 실행되기도 하지만, 수동으로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fsck`는 마운트 되지 않은 파일 시스템 또는 읽기 전용 모드로 마운트 된 파일 시스템에만 실행해야 합니다. 마운트 된 파일 시스템에서 `fsck`를 실행하면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fsck [OPTIONS] [DEVICE] 주요 옵션 - `-A`: `/etc/fstab`에 나열된 모든 파일 시스템을 순서대로 검사합니다. ..

[리눅스 명령어] 메모리 사용량 알아보기, free

메모리 사용량 알아보기, free `free`는 Linux에서 메모리 사용량을 표시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시스템의 전체 메모리, 사용 중인 메모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스왑 메모리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본 사용법 free [OPTIONS] 주요 옵션 - `-b`: 바이트 단위로 출력합니다. - `-k`: 킬로바이트 (KB) 단위로 출력합니다 (기본값). - `-m`: 메가바이트 (MB) 단위로 출력합니다. - `-g`: 기가바이트 (GB) 단위로 출력합니다. - `-h`: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 (예: 1K, 234M, 2G)으로 출력합니다. - `-t`: 전체 라인 (Total)을 추가로 출력합니다. 사용 예 1. 기본 메모리 사용량 표시 free 2. 메모리 사용량을 MB 단위로..

[리눅스 명령어] 출력 형식 정형화 하기, fmt

출력 형식 정형화 하기, fmt `fmt`는 UNIX 및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텍스트 포맷팅 도구입니다. 주로 텍스트를 지정된 너비로 재포맷하는 데 사용되며, 텍스트를 균일하게 포맷팅 하거나 단락을 재정렬하는 데 유용합니다. 기본 사용법 fmt [OPTION]... [FILE]... 주요 옵션 - `-w, --width=WIDTH`: 출력 줄의 최대 너비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75입니다. - `-u, --uniform-spacing`: 단락 사이에 한 줄의 공백을 남기고, 단락 내부에서는 각 문장 뒤에 두 개의 공백을 남깁니다. - `-p, --prefix=PREFIX`: 지정된 PREFIX로 시작하는 줄만 재포맷합니다. 사용 예 1. 텍스트를 60자 너비로 재포맷 fmt -w 60 filen..

[리눅스 명령어] 텍스트 파일의 정형화, fold

텍스트 파일의 정형화, fold `fold`는 UNIX 및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텍스트 유틸리티로, 주어진 파일이나 표준 입력의 각 줄을 지정된 너비로 줄바꿈합니다. 이 명령어는 주로 긴 텍스트 줄을 여러 줄로 나누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 사용법 fold [OPTION]... [FILE]... 주요 옵션 - `-w, --width=WIDTH`: 출력 줄의 최대 너비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80입니다. - `-s, --spaces`: 줄바꿈 시 공백 문자에서만 줄바꿈합니다. - `-b, --bytes`: 너비를 바이트로 계산합니다 (다중 바이트 문자에 유용). 사용 예 다음 사례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겠습니다. 1. 텍스트를 50자 너비로 줄바꿈 fold -w 50 filename.txt 2. 공백..

[리눅스 명령어] 사용자 정보 알기, finger

사용자 정보 알기, finger `finger`는 UNIX와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로컬 또는 원격 시스템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홈 디렉터리, 로그인 쉘, 마지막 로그인 시간, 현재 로그인 중인 세션 및 `.plan` 및 `.project` 파일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finger [options] [user] - `user`: 조회할 사용자의 이름. 지정하지 않으면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주요 옵션 - `-l`: 상세 정보를 출력합니다. (long format) 사용 예 1. 모든 사용자의 정보 조회 finger 사용자는 'easyfly' 한 사용자만 있군요. 이 사용..

[리눅스 명령어] 파일 종류 보기, file

파일 종류 보기, file `file`은 UNIX 및 Linux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로, 주어진 파일의 유형을 결정합니다. 이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실제로 읽어서 매직 넘버, 텍스트 패턴 등을 기반으로 파일의 유형을 식별합니다. 기본 사용법 file [OPTION]... [FILE]... 주요 옵션 - `-b, --brief`: 파일명을 출력하지 않고 파일 설명만 출력합니다. - `-i, --mime`: MIME 타입 출력. 파일의 MIME 유형과 인코딩 정보를 출력합니다. - `-f, --files-from=FILE`: 파일은 각 줄에 파일명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파일에서 파일 목록을 읽습니다. 사용 예 1. 파일 유형 확인 file example.txt 이 명령어는 `example.t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