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상머신에 리눅스 설치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수퍼유저(root) 비밀번호 설정
가상머신(VMware, VirtualBox 등)에 리눅스를 설치하고 나면 누구나 똑같은 질문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제 무엇부터 해야 할까?”
바로 그 첫 단계가 수퍼유저(root) 계정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1. 왜 root 비밀번호가 중요한가?
리눅스 시스템에서 root는 절대적인 권한을 가진 관리자 계정입니다.
- 시스템 파일 수정
- 패키지 설치 및 업데이트
- 사용자 계정 관리
- 보안 정책 설정
이 모든 것은 root 권한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Ubuntu를 포함한 최신 배포판들은 보안 강화를 위해 기본적으로 root 계정을 잠금 상태로 둡니다. 대신 일반 사용자 계정에서 sudo 명령을 통해 필요한 순간만 관리자 권한을 빌려 쓰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가상머신 환경에서는 학습과 실험의 목적이 크기 때문에, root 계정에 비밀번호를 설정해 두면 더 유연하고 편리하게 시스템을 다룰 수 있습니다.
2. root 비밀번호 설정 방법
- 터미널 열기
가상머신의 리눅스 환경에서 Ctrl + Alt + T를 눌러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 명령어 입력
- sudo : 현재 사용자에게 일시적으로 관리자 권한 부여
- passwd root :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새로 지정
- sudo passwd root
- 현재 사용자 비밀번호 입력
먼저 지금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예: easyfly)의 비밀번호를 묻습니다. - root 비밀번호 설정
- 새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다시 한 번 입력해 확인합니다.
- 설정 완료 메시지 확인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root 계정이 활성화된 것입니다.
3. root 계정 사용하는 방법
이제 root 계정을 직접 전환하거나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 root로 전환→ root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관리자 환경으로 전환됩니다.
- su -
- 관리자 권한 명령 실행
여전히 sudo를 이용해 필요한 순간에만 root 권한을 쓰는 것이 보안상 안전합니다.
4. 보안상의 주의사항
- root 계정을 일상적인 작업에 사용하지 마세요.
실수로 시스템 전체를 망가뜨릴 위험이 있습니다. - 패스워드는 강력한 조합(영문 대/소문자 + 숫자 + 특수문자)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상머신이라 하더라도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본 보안을 지키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가상머신에 리눅스를 설치한 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수퍼유저(root)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관리자 권한을 온전히 다룰 수 있고, 다양한 실습 환경에서 편리하게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항상 보안을 염두에 두고 sudo 중심의 사용 습관을 병행한다면, 학습과 안전을 동시에 챙길 수 있을 것입니다.
✍️ 한 줄 요약:
리눅스 가상머신의 첫걸음은 root 계정의 비밀번호 설정, 하지만 사용은 꼭 신중하게!
반응형
'Linuxpia > 가상 머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머신 리눅스에 VSCode Server 설치하기 (curl 사용) (3) | 2025.09.06 |
---|---|
[가상 머신] 설치 후 두 번째 해야할 일 (6) | 2025.09.02 |
[VMware] 커스텀 설치 옵션 (5) | 2025.08.31 |
[설치 옵션] 두 가지 옵션의 차이 (7) | 2025.08.30 |
VirtualBox 설치 파일을 VMware처럼 VC++ 런타임 포함형으로 만드는 방법 (4)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