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Mware Workstation Pro 17 – Custom 설치 단계별 설정
1단계: Configuration Type
- Typical 또는 Custom 선택
- 여기서 Custom(advanced)를 선택합니다.
2단계: Hardware Compatibility
- Hardware compatibility: 기본값은 Workstation 17.x
- 필요하면 이전 버전 호환(예: 16.x, 15.x)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선택에 따라 VM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메모리/CPU/디스크 등이 달라집니다.
- 그대로 두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3단계: Guest Operating System Installation
- 설치 방법을 고릅니다.
- Installer disc (실제 CD/DVD 사용)
- Installer disc image file (ISO) (보통 ISO 파일 선택)
-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 (OS를 나중에 설치)
4단계: Select a Guest Operating System
- 설치할 OS 종류를 선택합니다.
- Microsoft Windows
- Linux (Ubuntu, CentOS, Rocky, etc.)
- Other
- 버전(예: Windows 10, Ubuntu 64-bit 등)을 지정해야 합니다.
5단계: Virtual Machine Name & Location
- 가상 머신 이름을 입력합니다. (예: Ubuntu-Server01, Windows11-Test)
- 가상 머신 파일(.vmx, 가상 디스크 등)을 저장할 경로를 지정합니다.
6단계: Processor Configuration
- VM에 할당할 CPU 수와 코어 수를 지정합니다.
- 실제 PC 자원에 따라 조절합니다. (예: 2코어 4쓰레드 CPU라면 VM에 2코어 할당 가능)
7단계: Memory for the Virtual Machine
- VM에 할당할 메모리를 지정합니다.
- 권장값은 설치할 OS의 최소 요구사양 이상으로 설정합니다.
- Windows 11 → 최소 4GB, 권장 8GB 이상
- Ubuntu Desktop → 최소 2GB, 권장 4GB 이상
8단계: Network Type
- 가상 머신이 네트워크에 어떻게 연결될지 선택합니다.
- Bridged: 호스트와 동일 네트워크 상의 별도 PC처럼 동작
- NAT: 호스트 IP를 공유하여 인터넷 사용 (가장 일반적)
- Host-only: 외부 네트워크 없이 호스트-PC와만 통신
- Custom: 사용자가 정의한 VMnet
9단계: I/O Controller Types
- 디스크 컨트롤러 종류를 선택합니다.
- 기본값은 LSI Logic SAS 또는 NVMe (OS 종류에 따라 다름)
-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기본값 사용.
10단계: Virtual Disk Type
- 가상 디스크 인터페이스 선택:
- IDE, SCSI, SATA, NVMe 중 선택
- 최신 OS는 NVMe나 SCSI 권장
11단계: Create a Virtual Disk
- 디스크 크기와 저장 방식을 지정합니다.
- 예: 60GB, 100GB
-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단일 파일) 또는
“Split into multiple files” (여러 파일 분할 저장) - 단일 파일은 속도 빠름, 분할 저장은 이동 편리
12단계: Specify Disk File
- 가상 디스크 파일 이름과 저장 위치 지정 (.vmdk)
13단계: Ready to Create Virtual Machine
- 지금까지 선택한 요약이 표시됩니다.
- Finish 버튼을 누르면 가상 머신이 생성됩니다.
👉 요약하면, Custom 선택 후에는 호환성 → OS 설치 방식 → CPU/메모리 → 네트워크 → 디스크 설정 → 최종 확인 순서로 진행됩니다.
반응형
'Linuxpia > 가상 머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 머신] 설치 후 두 번째 해야할 일 (6) | 2025.09.02 |
---|---|
[가상 머신] 리눅스 설치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4) | 2025.09.01 |
[설치 옵션] 두 가지 옵션의 차이 (7) | 2025.08.30 |
VirtualBox 설치 파일을 VMware처럼 VC++ 런타임 포함형으로 만드는 방법 (4) | 2025.08.12 |
하이퍼바이저 타입 1 vs 타입 2 그리고 KVM 구조 (7) | 2025.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