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상머신 리눅스 설치 후 두 번째 해야 할 일: 한글 입력 환경 설정
리눅스를 가상머신에 설치하고 root 계정을 활성화했다면, 그다음으로 해야 할 중요한 작업은 입력기(IME) 세팅입니다.
기본적으로 Ubuntu 같은 배포판은 영어 입력만 가능하기 때문에, 한국어 사용자는 별도로 한글 입력기를 설치·설정해야 합니다.
1. 왜 한글 입력기 설정이 필요한가?
- 리눅스를 학습하거나 실제 업무에 활용하다 보면, 파일 이름, 디렉터리 이름, 문서 작성에서 반드시 한글 입력이 필요합니다.
- 기본 설치 상태에서는 영어만 입력되므로, 한국어 입력을 위해 ibus 또는 fcitx 같은 입력기를 설정해야 합니다.
- 특히 가상머신은 학습과 실험 목적이 많으므로, 한글 환경을 바로 세팅해 두면 활용도가 훨씬 높아집니다.
2. 한글 입력기 설치 과정
- 필수 패키지 설치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을 입력합니다. -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ibus ibus-hangul -y
- 입력기 설정 실행→ “IBus 환경설정” 창이 열립니다.
- ibus-setup
- 입력기 추가
- [입력기] 탭 → 추가 → “한국어(Hangul)” 선택 → 추가 버튼 클릭
- 이제 입력기 목록에 Hangul이 등록됩니다.
- 로그아웃 후 재로그인
새 입력기 설정을 적용하려면 시스템을 재시작하거나, 최소한 로그아웃/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3. 한글 입력 전환 방법
- 기본 전환 단축키: 한/영키 또는 Shift + Space
- 전환이 안 되면 → ibus-setup에서 단축키를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
4. 보완 작업
- 필요하다면 시스템 언어도 한국어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후 설정에서 시스템 언어를 한국어로 지정하면 메뉴와 기본 메시지도 한글화 됩니다.
- sudo apt install language-pack-ko -y
마무리
리눅스 가상머신 설치 후 두 번째로 꼭 해야 할 일은 한글 입력기(ibus-hangul) 설치 및 설정입니다.
이 작업을 마쳐야 한국어 문서 작성, 소스 코드 주석, 각종 프로젝트 파일 작업이 원활해집니다.
✍️ 한 줄 요약:
리눅스 가상머신의 두 번째 준비는 ibus-hangul 설치와 한글 입력 설정, 그래야 진짜 작업 환경이 완성됩니다.
반응형
'Linuxpia > 가상 머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머신 리눅스에 VSCode Server 설치하기 (curl 사용) (3) | 2025.09.06 |
---|---|
[가상 머신] 리눅스 설치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4) | 2025.09.01 |
[VMware] 커스텀 설치 옵션 (5) | 2025.08.31 |
[설치 옵션] 두 가지 옵션의 차이 (7) | 2025.08.30 |
VirtualBox 설치 파일을 VMware처럼 VC++ 런타임 포함형으로 만드는 방법 (4)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