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이퍼바이저 타입 1 vs 타입 2 그리고 KVM 구조
위 그림은 가상화 기술의 세 가지 대표 구조를 한눈에 비교한 것입니다. 각각의 차이를 이해하면, 어떤 환경에서 어떤 하이퍼바이저를 선택해야 할지 명확해집니다.
1. 타입 1(베어메탈형) 하이퍼바이저
왼쪽 구조가 타입 1입니다.
- 구성: 하드웨어 → 하이퍼바이저 → 가상 머신
- 하이퍼바이저가 하드웨어 위에서 직접 실행되며, 그 위에 여러 가상 머신이 동작합니다.
- 특징:
- 성능과 안정성이 뛰어남
- 서버 가상화, 클라우드 환경에서 많이 사용
- 예: VMware ESXi, Microsoft Hyper-V, Xen
2. 타입 2(호스트형) 하이퍼바이저
가운데 구조가 타입 2입니다.
- 구성: 하드웨어 → 호스트 OS → 하이퍼바이저 → 가상 머신
- 기존 운영체제 위에서 하이퍼바이저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가상화를 구현합니다.
- 특징:
- 설치와 사용이 간단
- 성능은 타입 1보다 낮지만, 개인 개발이나 테스트 환경에 적합
- 예: VirtualBox, VMware Workstation
3. KVM 구조
오른쪽 구조가 KVM입니다.
- 구성: 하드웨어 → 리눅스 커널 + KVM 모듈 → 가상 머신
- KVM은 리눅스 커널에 내장된 가상화 모듈로, 리눅스를 하이퍼바이저로 변환시킵니다.
- 특징:
- 외형상 리눅스 위에서 동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타입 1과 동일한 베어메탈 구조
- 리눅스와 긴밀히 통합되어 있어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널리 사용
- 예: Naver Cloud, Google Cloud, OpenStack 환경
📌 정리
- 타입 1: 성능·안정성 최우선, 대규모 서버 환경 적합
- 타입 2: 손쉬운 설치·관리, 개인·테스트 환경 적합
- KVM: 리눅스 친화적, 클라우드 환경에서 표준처럼 활용
이 그림을 보면 KVM이 타입 2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리눅스 커널이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는 타입 1 구조라는 점이 핵심입니다.
반응형
'Linuxpia > 가상 머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Box 설치 파일을 VMware처럼 VC++ 런타임 포함형으로 만드는 방법 (4) | 2025.08.12 |
---|---|
KVM과 Xen의 차이 (6) | 2025.08.10 |
클라우드의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4) | 2025.08.09 |
[VMware] 가상머신 VMware의 종류와 설치 (7) | 2023.05.01 |
[VMware] 가상 머신 만들기 (9) | 202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