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는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을 만들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입니다.
쉽게 말해, 하나의 물리 서버 위에서 여러 개의 가상 서버(가상 머신)를 실행하고 자원을 나누어 주는 관리자입니다.
1. 역할
- CPU, 메모리, 저장소, 네트워크 등 물리 자원을 가상 머신끼리 나누어 사용하게 함
- 각 가상 머신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격리
- 가상 머신의 생성·시작·중지·삭제 같은 관리 기능 제공
2. 종류
(1) 타입 1: 네이티브(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
- 물리 서버 하드웨어 위에서 직접 실행
- 예: VMware ESXi, Microsoft Hyper-V, XenServer
- 성능이 뛰어나고 서버 가상화에 주로 사용
(2) 타입 2: 호스트형 하이퍼바이저
- 기존 운영체제(Windows, macOS, Linux) 위에서 실행
- 예: VirtualBox, VMware Workstation, Parallels Desktop
- PC나 개발 환경에서 테스트 용도로 주로 사용
3. 여기서 선택한 KVM이란?
-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 은 리눅스 커널에 내장된 타입 1 하이퍼바이저 기능
- Ubuntu, CentOS 같은 리눅스 서버에서 직접 가상 머신을 실행 가능
- 오픈소스이면서도 안정성과 성능이 좋아서 클라우드 서비스(Naver Cloud, AWS EC2 일부 인스턴스)에서도 널리 사용
💡 요약
하이퍼바이저는 물리 서버를 여러 가상 서버로 나누어 주는 ‘가상화 관리자’이며, 여기서 KVM은 리눅스 기반의 대표적인 하이퍼바이저입니다.
반응형
'Linuxpia > 가상 머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KVM과 Xen의 차이 (5) | 2025.08.10 |
---|---|
[VMware] 가상머신 VMware의 종류와 설치 (7) | 2023.05.01 |
[VMware] 가상 머신 만들기 (9) | 2023.03.26 |
[LinuxMint] 버츄얼박스에 리눅스민트 21 시나몬 설치 (1) | 2023.03.10 |
버추얼박스 마우스 설정과 창 모드 변경 (5) | 202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