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VM과 Xen, 무엇이 다를까?
클라우드 서버를 생성할 때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라는 용어를 자주 보게 됩니다. 하이퍼바이저는 하나의 물리 서버에서 여러 개의 가상 서버를 실행하고 관리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대표적인 오픈소스 하이퍼바이저로 KVM과 Xen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기술의 차이와 특징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하이퍼바이저란?
하이퍼바이저는 물리 서버의 CPU, 메모리, 저장소, 네트워크 자원을 가상 머신(Virtual Machine)끼리 나누어 쓰도록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 타입 1(베어메탈형): 하드웨어 위에서 직접 실행되어 성능이 뛰어난 방식
- 타입 2(호스트형): 기존 운영체제 위에서 실행되어 비교적 설정이 쉬운 방식
KVM과 Xen 모두 타입 1 계열이지만 구조에 차이가 있습니다. 타입 2 계열은 기존 OS 이에서 실행되는 VirtualBox 또는 VMware Workstation이 있습니다.
KVM은 리눅스 커널 자체를 하이퍼바이저로 변환하는 모듈입니다. 즉, KVM이 활성화되면 리눅스는 단순한 호스트 OS가 아니라 하드웨어 위에서 직접 가상 머신을 제어하는 하이퍼바이저가 됩니다.
2. KVM의 특징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은 리눅스 커널에 포함된 가상화 모듈입니다.
- 리눅스 커널을 하이퍼바이저로 전환시켜 가상 머신을 실행
- 별도의 하이퍼바이저 설치 없이, 리눅스 서버에서 바로 사용 가능
- 설치와 관리가 간단하고, 리눅스와 긴밀하게 통합
- Ubuntu, CentOS 등 다양한 배포판에서 기본 지원
- 구글 클라우드, 오픈스택, 네이버 클라우드 등에서 널리 사용
3. Xen의 특징
Xen은 하드웨어 위에서 직접 실행되는 전용 하이퍼바이저입니다.
- 하이퍼바이저 위에 Domain 0(관리용 OS)을 올려 가상 머신을 제어
- 고성능, 안정성이 뛰어나 대규모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
- AWS EC2 초기 버전, Citrix XenServer 등에서 채택
- 보안 격리가 강력해 금융·공공 분야에서도 활용
4. 구조 비교
KVM 구조
하드웨어 → 리눅스 커널 + KVM 모듈 → 가상 머신(VM)
Xen 구조
하드웨어 → Xen 하이퍼바이저 → Domain 0(관리용 OS) → 가상 머신(VM)
KVM은 리눅스가 곧 하이퍼바이저 역할을 하며, Xen은 별도의 하이퍼바이저와 관리 영역이 존재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5. 장단점 비교
구분 | KVM | Xen |
장점 | 리눅스 통합, 설치·관리 용이, 커뮤니티 활성 | 안정성·성능 우수, 보안 격리 강력 |
단점 | 리눅스 의존적 | 구조 복잡, 관리 난이도 높음 |
대표 사용처 | OpenStack, GCP, 네이버 클라우드 | AWS 초기 EC2, Citrix XenServer |
6.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
- 빠른 구축과 관리 편의성을 원한다면 KVM
- 고성능·고안정성이 중요한 대규모 서비스라면 Xen
최근에는 KVM이 클라우드 서비스 전반에서 표준처럼 자리 잡고 있지만, 특정 보안 요구사항이나 안정성을 우선시하는 환경에서는 Xen도 여전히 강력한 선택지입니다.
💡 정리
KVM과 Xen 모두 훌륭한 하이퍼바이저지만, 사용 환경과 목적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에서도 필요에 따라 두 기술을 병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Linuxpia > 가상 머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Box 설치 파일을 VMware처럼 VC++ 런타임 포함형으로 만드는 방법 (4) | 2025.08.12 |
---|---|
하이퍼바이저 타입 1 vs 타입 2 그리고 KVM 구조 (7) | 2025.08.11 |
클라우드의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4) | 2025.08.09 |
[VMware] 가상머신 VMware의 종류와 설치 (7) | 2023.05.01 |
[VMware] 가상 머신 만들기 (9) | 202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