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33

[뮤즈스코어] 꿈을 먹는 시니어에서 '반복기호' 사용 사례

꿈을 먹는 노년"아름다운 꿈을 안고사는 시니어여 / 우리 모두 같이 흥겨웁게 노래해요 / 행복은 언제나 마음속에 있는 것 / 괴로움은 모두 저 강물에 버려요" 라고 불리는 노랫말이 있습니다. 본래는 남궁옥분이 부른 '꿈을 먹는 젊은이'인데 존경하는 '재키' 선배님이 본래 노랫말의 '젊은이' 대신 '시니어'로 바꾼 것입니다. '재키'라는 예명도 '재미 키우기'에서 머리글자를 따왔습니다.반복기호 사용 사례개사된 가사글을 반영해서 뮤즈스코어로 사보를 했습니다. 사보 과정에서 새 사실을 알았습니다. 악보에서 사용되는 '반복기호'인 '1'과 '2'에서 '1'의 경우에 마디를 선택하고 적용해야 했습니다. 이것을 매번 틀려 연주를 하면 이 부분에서 어긋났거든요. 아래 악보에서 처음 연주되는 부분은 세 마디이기 때문에..

[뮤즈스코어] 고향하면 생각나는 노래, 향수 사보

향수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빛이 그리워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전설(傳說)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하늘에는 성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

[뮤즈소크어] 악보 입력에 단축키 활용

뮤즈스코어 뮤즈스코어는 악보를 만드는 도구입니다. 음표나 쉼표를 오선지에 기록하는 방법은 마우스로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그러나 빠르게 입력하려면 단축키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왼손과 오른손이 협업하여 단축키를 사용하면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처럼 빠른 입력이 가능합니다. 방법을 구분하면 세 가지 정도 되겠네요. 마우스로 입력하는 방법 단축키로 입력하는 방법 왼쪽은 단축키 오른손은 마우스로 입력하는 방법 각각 장단점이 있고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단축키 입력을 즐겨 씁니다. 그러나 단축키의 경우는 한옥타브를 올리거나 내리는 후속 작업이 따를 수 있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악보 입력의 두 방법: 마우스 입력과 단축키 입력 이전에 안내했던 내용은 마우스를 이용하여 ..

[뮤즈스코어] 뮤즈스코어에 악기 추가, 가사 입력

뮤즈스코어 뮤즈스코어에서 간단한 동요인 런던다리 악보에 악기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추가할 악기는 대단히 많습니다. 그중에 보컬도 포함됩니다. 동요 런던다리 악보에 보컬을 추가해 보겠습니다. 다른 악기 추가 요령도 같습니다. 뮤즈스코어에서 보컬 추가 뮤즈스코어 왼편 패널에는 '팔레트', '악기', '속성'이 있습니다. 두 번째 '악기'를 선택하면 '추가'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악기 Family별로 악기를 찾을 수 있습니다. 보컬 Family에서 소프라노를 선택해서 내 뮤즈스코어에 올리면 추가된 악보가 나타납니다. 뮤즈스코어에서 가사 넣기 뮤즈스코어를 이용한 가사 넣는 방법입니다. 먼저 가사 넣을 음표를 선택합니다. 메뉴 '추가'에서 '텍스트'를 선택하면 다양한 텍스트 입력 종류가 나옵니다...

[뮤즈스코어] '엘리제를 위하여' 사보하고, 스크래치로 연주하기

엘리제를 위하여 1810년 베토벤이 피아노 독주를 위해 작곡한 유명한 곡입니다. 이 곡은 베토벤이 사망한 후 40년이 지난 1867년에야 출판된 사연 많은 작품이기도 합니다. '엘리제'가 누구냐에 대한 설도 다양합니다. 각설하고...... 이 곡을 '뮤즈스코어'로 사보하고, '스크래치'로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해보시게요. 사보하는 방법은 전 과정에서 소개했습니다. 물론 마우스를 이용한 기초적인 삽질 수준이지만. 삽질하는 시간은 좀 걸려도 다음과 같은 복잡한 악보도 만들 수 있습니다. 음악 연주 만들어진 악보로 음악을 연주해 봅니다. 방법은 우상단 플레이 버튼을 클릭합니다. 중간부터 연주되는 경우를 대비해서 처음으로 되감는 버튼을 먼저 누른 후에 재생하면 착오가 없습니다. 엘리제를 위하여 음악 듣기 사운..

[MuseScore] 뮤즈스코어 4 설치

Muse Hub를 통한 설치 허브란 바큇살을 연결한 바퀴축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구조의 중심으로 핵이 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use Hub'도 마찬가지 개념입니다. '뮤즈허브'를 통해 프로그램과 각종 리소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중심이라는 의미입니다. 뮤즈허브를 통하지 않고 '뮤즈스코어'를 바로 설치하려면 '뮤즈허브' 아래에 있는 'Download MuseScore without Muse Hub'를 선택해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설치 파일을 바로 다운로드 설치 파일(확장자 .msi: 윈도즈 설치 파일이라는 의미로 Microsoft Installer에서 확장자를 따옴)을 바로 내려받으면 됩니다. 'Muse Hub' 아래 'Download MuseScore without M..

리눅스에서 루트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때

리눅스에서 루트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단, 아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또는 가상 환경에서 시스템에 접근이 가능해야 합니다. 싱글 유저 모드(Single User Mode) 또는 복구 모드(Recovery Mode)로 부팅하기 재부팅하거나 부팅시점에서 grub 메뉴로 진입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컴퓨터가 시작할 때 나타나는 화면에서 Shift 키 또는 Esc 키를 눌러 grub 메뉴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grub 메뉴에서 복구 모드 (recovery mode) 또는 싱글 유저 모드(single user mode)로 부팅합니다. 이 모드에서는 시스템에 로그인하지 않고도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루트로 전환하고 비밀번호 재설정 이 모드에서..

리눅스 기본 명령어

리눅스 기본 명령어 리눅스는 많은 다양한 명령어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래에는 몇 가지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들을 카테고리별로 열거해 봅니다. 1. 파일 및 디렉토리 명령어 ls : 현재 디렉토리의 내용을 나열합니다. cd :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 pwd :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출력합니다. touch : 새로운 빈 파일을 생성하거나 기존 파일의 타임스탬프를 업데이트합니다. cp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합니다. mv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합니다. rm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find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검색합니다. cat : 파일의 내용을 출력합니다. less :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출력합니다. 2. 권한 및 소유권 명령어 chmod : 파일 또는 디렉토리..

리눅스 파티션

리눅스 파티션은 리눅스 시스템의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들 파티션은 하드 드라이브나 SSD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부분으로 나누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시스템 자원을 최적화하며, 높은 수준의 데이터 보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파티션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루트) 파티션: 이 파티션이 리눅스 시스템의 핵심입니다. 운영체제와 시스템 파일을 저장하며, 이 파티션에 문제가 발생하면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home 파티션: 사용자 데이터와 개인 설정이 저장되는 곳입니다. 사용자가 생성하는 모든 파일이 이곳에 저장됩니다. /boot 파티션: 시스템 부트 로더와 커널 이미지가 저장됩니다. 이 파티션에 문제가 생기면 시스템이 ..

'리눅스 커널' 이야기

리눅스 커널은 리눅스 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입니다.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상호 작용하고 운영 체제의 다른 부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리눅스 커널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며 누구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커널은 1991년 Linus Torvalds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Torvalds는 핀란드의 컴퓨터 과학 학생이었고 유닉스 운영 체제의 대안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유닉스는 인기 있는 운영 체제이지만 비용도 많이 들고 사용하기도 어려웠습니다. Torvalds는 유닉스와 유사한 운영 체제를 만들고 싶었지만 더 오픈 소스적이고 사용하기 쉬웠습니다. Torvalds는 1991년 9월 17일 리눅스 커널의 첫 번째 버전을 출시했습니다. 커널은 빠르게 인기를 얻었고 현재 세계에서 가장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