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 11

네트워킹 관련 명령어,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입니다. 커널의 ARP 캐시를 관리합니다. ARP는 IP 주소와 각 호스트의 이더넷 주소를 대응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ARP와 반대의 역할을 하는 것은 RARP(Reverse ARP)로서, 디스크가 없는 워크스테이션 등에서 이더넷 주소만 가지고 있으면서 IP 주소를 모를 때 이용됩니다. 이 ARP에 관련된 정보는 /proc/net/arp에 저장됩니다. 서식 arp [-옵션] 명령어 위치 /sbin/arp 주요 옵션 -v: 순차적으로 정보를 화면에 보여줍니다. -t 타입: 주어진 타입에 따라 ARP 캐시 정보를 찾아냅니다. -a [호스트]: 지정한 호스트에 대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호스트를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

시스템의 CPU 정보, arch

arch machine ARCHitecture, 즉 컴퓨터 기종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명령어입니다. 'uname -m'과 기능이 같습니다. 명령어 위치 /bin/arch 관련 파일 /usr/src/linux-headers-X.X.XX-XX/arch 사용법 인텔 계정의 CPU는 ix86으로 표시하고, 스팍은 sparc, 알파는 alpha로 표시됩니다. 이 외에도 arm, m68k, mips, ppc 종류의 CPU가 있습니다. 각각의 시스템마다 설치 방법과 설정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arch의 결과는 'uname -a'와 같습니다. 정리 자신의 시스템의 CPU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찾고자하는 키워드 입력, apropos

apropos 'apropos'는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로서, man 페이지에서 특정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찾는 데 사용됩니다. 'apropos'는 검색어와 관련된 모든 man 페이지의 짧은 설명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명령어의 기능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특정 작업에 필요한 도구를 알아내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명령어 사용법 apropos [옵션] 검색어 사용 예 apropos directory 정리 이 명령어는 찾고자하는 키워드에 관련된 모든 man 페이지를 검색하여 관련 정보를 출력합니다. 그 결과로 여러 명령어와 그들의 간단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apropos'는 'man -k'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므로, 이 두 명령어는 상호 교환 가능합니다.

명령어 간소화하기, alias

명령어 간소화하기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에 사용자가 별명을 지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ls라는 명령어를 사용할 때 주로 -al이라는 옵션을 사용한다면 'alias ll='ls -al' 이란 명령을 이용합니다. 그러면 'll'라는 명령으로 'ls -al'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서식 alias 별명='명령어' 명령어 위치 /etc/aliases 관련 파일 /etc/aliases.db /usr/include/aliases.h 사용법 ls 명령어 사용할 때 -al 옵션을 자주 사용한다면 홈 디렉토리에 있는 .bashrc 파일에 다음 문장을 추가합니다. alias ll='ls -al' ls -al 대신에 ll을 입력해도 같은 결과를 얻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명ㄹ여에 별명을 ..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종류

파일 시스템의 종류 ext: 리눅스 초기의 파일 시스템은 'ext'였습니다. 'ext'는 'Extended file system'의 줄임말입니다. 이는 리눅스의 첫 번째 파일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기능과 용량 등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ext2, ext3, ext4는 모두 이 원래의 'Extended file system'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숫자는 각각의 버전을 나타냅니다. ext2: 이 파일 시스템은 리눅스에서 가장 일찍 개발되었으며,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기능들이 추가되어 발전된 ext3, ext4와 같은 최신의 파일 시스템도 있지만, ext2는 그 간결함과 안정성으로 인해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ext2는 저널링..

[뮤즈스코어] 음악 재생 옵션에 대하여

음악 재생 뮤즈스코어 음악 재생에 관한 아이콘은 화면 우상단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재생 버튼 오른편에 설정 아이콘을 열면 몇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네 가지는 선택되어 있고, 반복 옵션은 해당되는 부분에서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반복 재생을 할 수 있습니다. 코드 재생을 생략하려면 선택을 해제하면 됩니다. 음악 재생 중에도 다시 선택하면 코드를 재생해 줍니다. '반복 기호 재생'을 해제하면 반복하지 않고 재생됩니다. 이 옵션도 재생 중에 선택과 해제가 가능합니다. 기본 상태로 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생 왼편 메트로놈을 켜면 박자를 세면서 음악이 재생됩니다. 반복 재생 반복 재생이 필요하면 반복 아이콘을 선택해서 필요한 부분을 계속해서 듣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복 아이콘의 시작 부분과 ..

[뮤즈스코어] 파일 내보내기

뮤즈스코어 내보내기 뮤즈스코어에서 사보한 악보는 여러 형태로 내보내기를 할 수 있습니다. '내보내기'는 파일 메뉴에서 내보내기를 선택합니다. 내보내는 기본 형식은 'PDF' 형식의 문서입니다. 악보가 필요한 사람에게 배부할 문서가 기본 포맷입니다. 오른쪽 '아래 하살표'를 선택하면 다른 형식들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오디오 형식으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주로 'MP3 오디오'로 내려받는 것이 사용이 편리합니다. 내려받은 파일은 음악 재생 프로그램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내보낼 악보는 여러 악기와 목소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총보' 등 선택한 종류대로 파일이 생성됩니다. 총보는 모든 악기의 합주 형태로 오디오 파일이 만들어집니다. 이 경우는 PDF 파일로 만들 때도 같습니다.

[뮤즈스코어] 단축키 구성과 악상 기호

뮤즈스코어 악상 기호에 따른 단축키 음악 작곡가는 악상(articulation) 기호를 사용하여 연주자에게 음악을 어떻게 연주해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여러 가지 다양한 악상 기호가 있으며, 각각은 음의 길이, 강도, 중점 등을 다르게 하여 음악의 감정 표현을 다양하게 만듭니다. 다음은 주요한 악상 기호의 설명입니다: 대표적인 악상 기호 스타카토(Staccato): 점이 붙은 이 기호는 음을 간결하게, 짧게 연주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음의 일반적인 지속 시간보다 짧게 연주되어야 합니다. 스피카토(Spiccato): 이 기호는 현악기에서 보통 사용되며, 각각의 음을 경쾌하게 연주하라는 의미입니다. 마르카토(Marcato): 이 기호는 음을 강조하고, 보통 더욱 강하게 연주하라는 지시입니다. 테누토(Tenu..

[뮤즈스코어] 악기 교체해서 연주하기

어떤 일에 몰두한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군요. 오늘, 저는 뮤즈스코어를 통해 많은 악기를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악기의 음색을 비교하면서 듣다 보니 오후가 됐습니다. 노년 취미로는 꽤 값진 활동이군요. 악기 교체해서 연주하기 뮤즈스코어는 많은 악기 연주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악기를 교체하면서 음색을 비교하면서 들었습니다. 뮤즈스코어 악보가 선택된 상태에서 '악기' 탭을 통해 여러 악기를 경험할 수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노트북에서 듣다가 나중에는 도서관의 큰 모니터를 통해 들었습니다. 데스크톱에서 감상 데스크톱에서 본격적으로 이런 악기 저런 악기를 바꿔가면서 연주를 시켰습니다.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등의 현악기부터 오보에, 클라리넷, 플룻 등 목관악기까지. 하프와 파이프오르간까지도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뮤즈스코어] 꿈을 먹는 시니어에서 '반복기호' 사용 사례

꿈을 먹는 노년"아름다운 꿈을 안고사는 시니어여 / 우리 모두 같이 흥겨웁게 노래해요 / 행복은 언제나 마음속에 있는 것 / 괴로움은 모두 저 강물에 버려요" 라고 불리는 노랫말이 있습니다. 본래는 남궁옥분이 부른 '꿈을 먹는 젊은이'인데 존경하는 '재키' 선배님이 본래 노랫말의 '젊은이' 대신 '시니어'로 바꾼 것입니다. '재키'라는 예명도 '재미 키우기'에서 머리글자를 따왔습니다.반복기호 사용 사례개사된 가사글을 반영해서 뮤즈스코어로 사보를 했습니다. 사보 과정에서 새 사실을 알았습니다. 악보에서 사용되는 '반복기호'인 '1'과 '2'에서 '1'의 경우에 마디를 선택하고 적용해야 했습니다. 이것을 매번 틀려 연주를 하면 이 부분에서 어긋났거든요. 아래 악보에서 처음 연주되는 부분은 세 마디이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