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37

[리눅스마스터] 특정 네트워크 대역만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환경 설정

1802회 1차 065다음은 squid.conf에서 특정 네트워크 대역만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과정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acl localnet src 192.168.12.0/255.255.255.0 (              ) localnet① http allow② http_allow③ http access allow④ http_access allow 오답노트더보기정답 분석:acl localnet src 192.168.12.0/255.255.255.0→ acl(Access Control List)을 설정하여 192.168.12.0/24 대역을 localnet이라는 이름으로 지정합니다.http_access allow localnet→ ACL(액세스 제어 목록)..

[리눅스마스터] MySQL 관리자 임시 패스워드 부여

1802회 1차 064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MySQL 5.7버전의 소스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후에 기본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root 사용자의 임시 패스워드를 부여 받는 과정이다. 참고로 명령 작업은 관련 명령어가 존재하는 디렉터리에서 실행하고 있다.① ./mysqld_safe --user=root &② ./mysqld_safe --initalize --user=root &③ ./mysql --initialize --user=root &④ ./mysqld --initialize --user=root & 오답노트더보기주어진 문제의 설명을 분석하면, MySQL 5.7 버전에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찾는 것이 핵심입니다.MySQL 5.7에서는 데이터 디렉터리를 초기..

카테고리 없음 2025.02.13

IoT에 적합한 라즈베리파이

IoT에 적합한 라즈베리파이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는 신용카드 크기의 소형 싱글보드 컴퓨터(SBC)로, 교육용 및 다양한 프로젝트에 활용됩니다.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Raspberry Pi OS, Ubuntu 등)를 실행할 수 있으며, GPIO 핀을 통해 센서 및 외부 기기와 연동할 수 있어 IoT, 로봇 제작, 미디어 서버, 네트워크 장비, 프로그래밍 학습 등에 유용합니다.1. 라즈베리파이 모델 종류라즈베리파이는 성능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습니다.Raspberry Pi 5 (2023)CPU: 2.4GHz 쿼드코어 Cortex-A76RAM: 4GB / 8GB 옵션USB 3.0 포트 2개, USB 2.0 포트 2개PCIe 2.0 인터페이스 추가성능 향상 및 속도 개선Raspber..

[리눅스마스터] LDAP의 구성

1801회 2차 063다음은 LDAP의 구성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LDAP는 이름, 주소와 같이 하나 이상의 속성을 가진 개체로 구성되고 그 객체를 엔트리라고 부른다. 각각의 엔트리는 DIT라는 트리 구조로 조직화되고 이 조직 내에서 고유한 식별자인 (  ㄱ   )을 사용하고 (  ㄱ  )은 (  ㄴ  )으로 구성된다.① ㄱ: RDN    ㄴ: DN② ㄱ: DN       ㄴ: RDN③ ㄱ: CN       ㄴ: SN④ ㄱ: SN        ㄴ: CN 오답노트더보기LDAP(Lightwe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는 디렉터리 서비스를 조회하고 수정하는 TCP 기반 응용 프로토콜입니다. LDAP의 주요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c:..

[리눅스마스터] 삼바서버 환경 설정

1802회 1차 062다음은 삼바 서버 설정 파일에서 공유 디렉터리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지정하는 항목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vi /etc/samba/smb.conf(            ) = ihduser kaitman① valid user② valid users③ valid-user④ valid-users 오답노트더보기삼바 서버는 /etc/samba/smb.conf를 환경설정 파일로 이용하며, 각 공유 폴더(항목) 별로 설정값을 지정합니다. 삼바의 공유 폴더의 주요 설정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디렉터리 이름]: [   ] 사이에 공유 폴더 이름을 지정합니다.comment: 공유 폴더에 대한 설명을 기술합니다.path: 공유 디렉터리의 절대경로를 지정합니다...

dhcpd.conf 파일의 중요 내용

dhcpd.conf 파일의 중요 내용해당 설정은 DHCP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IP 주소와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동적으로 할당할 때 사용하는 dhcpd.conf 파일의 설정입니다. 각 항목의 의미를 알아봅니다.default-lease-time 600;max-lease-time 7200;subnet 192.168.1.0 netmask 255.255.255.0 { range 192.168.1.100 192.168.1.200; option routers 192.168.1.1; option domain-name-servers 8.8.8.8, 8.8.4.4;}1. default-lease-time 600;클라이언트가 요청한 IP 주소를 임대(lease) 받을 수 있는 기본 시간을 설정합니다.단위..

[리눅스마스터] dhcpd.conf에서 syslog에 전달한 로그

1802회 1차 061다음은 dhcpd.conf에서 syslog에 전달한 로그의 facility를 지정하는 항목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localhost7;① log-facility② syslog-facility③ log.facility④ syslog.facility 오답노트더보기/etc/dhcp/dhcpd.conf 파일은 DHCP 데몬(daemon)인 dhcpd가 사용하는 설정 파일이며, DHCP의 로그 메시지를 다른 곳으로 전달하려면 log-facility 항목을 이용합니다. 답은 ① log-facility

DHCP 서버 설치 방법

DHCP 서버 설치 방법DHCP 서버 설치 방법은 사용 중인 리눅스 배포판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는 주요 배포판에서 DHCP 서버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방법입니다.1. Ubuntu/Debian 계열 (예: Ubuntu, Debian)DHCP 서버 설치패키지 업데이트:sudo apt updateDHCP 서버 패키지 설치:sudo apt install isc-dhcp-server -y기본 설정 파일설정 파일: /etc/dhcp/dhcpd.conf인터페이스 설정 파일: /etc/default/isc-dhcp-server인터페이스 설정DHCP 서버가 작동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정합니다./etc/default/isc-dhcp-server 파일을 편집:sudo nano /etc/default/isc-dhcp-se..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와 dhcpd의 역할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와 dhcpd의 역할DHCP는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에 IP 주소와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입니다. DHCP 서버로 작동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가 dhcpd(DHCP Daemon)입니다. dhcpd는 네트워크에서 DHCP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요 역할과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1. dhcpd의 주요 역할IP 주소 할당IP 주소 풀(범위)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에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합니다.클라이언트가 요청한 경우 특정 고정 IP를 할당하는 정적 IP 할당도 지원합니다.네트워크 구성 정보 제공IP 주소 외에도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 NTP 서버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리눅스마스터] 백업 대상이 되는 디렉터리

1802회 1차 060다음 중 백업 대상이 되는 디렉터리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가) /etc     나) /tmp    다) /usr     라) /var① 가, 나, 다② 나, 다, 라③ 가, 다, 라④ 가, 나, 다, 라 오답노트더보기디렉터리별 역할 및 백업 필요성/etc (가)시스템 설정 파일과 구성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터리입니다.네트워크 설정, 사용자 계정 정보, 서비스 설정 등이 포함되어 있어 백업 대상입니다./tmp (나)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시스템 재부팅 시 자동으로 삭제됩니다.백업이 필요하지 않은 디렉터리입니다./usr (다)시스템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및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디렉터리입니다.주로 정적 데이터가 포함되며, 재설치 가능하지만 일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