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63

리눅스에서 한글(ibus-hangul) 사용

리눅스에서 한글(ibus-hangul) 사용리눅스에서 ibus-hangul을 이용해 한글을 사용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여러 배포판(Ubuntu, Budgie, Linux Mint 등)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입니다. 리눅스를 설치하고 제일 먼저 최고관리자 root의 비밀번호부터 설정합니다. 어떤 경우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사'는 최고관리자 'root'입니다. 최고관리자 비번을 설정하는 것은 설치하면서 등록한 자신의 계정으로 가능합니다.한글 설정한글을 사용하는 우리 입장에서는 한글을 사용할 수 있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글 입력기를 설치하기 전에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합니다. 이어서 입력기 프레임워크와 한글 입력 모듈을 설치합니다. ibus 설정 실행 및 데몬 시작ibus 설정 실행 ..

Ubuntu Budgie와 Linux Mint MATE 비교

Ubuntu Budgie와 Linux Mint MATE 비교– 두 가볍고 직관적인 리눅스 배포판의 차이점과 선택 기준 –리눅스는 일반적으로 서버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최근 리눅스 시스템에는 개인이 데스크톱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가 있습니다. 그중 Ubuntu 계열의 개인 PC용 Budgie와 LinuxMint의 Mate를 비교해 봅니다.1. 개요 비교두 시스템 개요 비교항목 Ubuntu Budgie Linux Mint MATE기반Ubuntu (데비안 기반)Ubuntu (데비안 기반)데스크탑 환경BudgieMATE철학심플하고 현대적인 데스크탑고전적이고 가벼운 데스크탑기본 UI 스타일모던한 GNOME 스타일클래식한 GNOME 2 스타일자원 소모비교적 가벼움매우 가벼움초보자 친화도매우 높음매우 ..

Wayland 환경에 대한 이해와 특징

Wayland 환경에 대한 이해와 특징1. Wayland란 무엇인가요?Wayland는 리눅스(Linux)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서버(Display Server)의 차세대 프로토콜입니다.기존의 X11(X.Org)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더 단순하고, 효율적이며, 보안성 높은 구조를 목표로 합니다.2. 디스플레이 서버란?컴퓨터에서 그래픽 환경(GUI)을 사용할 때,화면에 창을 띄우고, 마우스 입력, 키보드 입력, 창 이동/확대/축소 등을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디스플레이 서버입니다.3. Wayland vs X11 (X.Org) X11 vs Wayland항목X11 (기존 시스템) Wayland (신규 시스템)등장 시기1984년 (X Window System)2008년 시작, 2010..

Fcitx 입력기: 개요와 어원, 그리고 활용법

Fcitx 입력기: 개요와 어원, 그리고 활용법1. Fcitx란 무엇인가요?Fcitx는 리눅스(Linux) 기반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입력기 프레임워크(Input Method Framework)입니다.주로 다국어 입력, 특히 한글, 중국어, 일본어 등 비라틴 문자 입력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2. 어원: Fcitx 이름의 뜻Fcitx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약자입니다.Flexible Context-aware Input Tool with eXtensionFlexible: 유연한 구조Context-aware: 문맥을 인식할 수 있는 기능Input Tool: 입력 도구with eXtension: 다양한 확장이 가능한 구조즉, 문맥 인식이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유연한 입력 도구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3. ..

리눅스 민트(Linux Mint)에서 한글 입력기 설치 및 설정

리눅스 민트(Linux Mint)에서 한글리눅스 민트(Linux Mint)에서 한글 입력기 설치 및 설정을 위한 전체 절차를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본 가이드는 fcitx5 입력기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ibus도 가능하지만, fcitx5는 최신 환경에서 더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한글 입력기 설치 및 설정 (Fcitx5 기준)1. 입력기 패키지 설치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을 입력하여 한글 입력기와 GUI 설정 도구를 설치합니다: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fcitx5 fcitx5-hangul fcitx5-config-qt fcitx5-qt fcitx5-gtkfcitx5-hangul: 한글 입력 엔진fcitx5-config-qt: 설정 GUI 도구fcitx5-qt, fcitx..

Rocky 리눅스에서 Opera 웹 브라우저 설치

Rocky 리눅스에서 Opera 웹 브라우저 설치Opera 웹 브라우저의 공식 다운로드 사이트에서는 RPM 패키지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citeturn0search0 그러나 Fedora와 같은 RPM 기반 시스템에서 Opera를 설치하려면, Opera의 공식 저장소를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Opera 저장소 추가 및 설치 방법:Opera 저장소 파일 생성:[opera]name=Opera Browsertype=rpm-mdbaseurl=https://rpm.opera.com/rpmgpgcheck=1gpgkey=https://rpm.opera.com/rpmrepo.keyenabled=1/etc/yum.repos.d/ 디렉터리에 opera.repo 파일을 생성하고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패키지 캐..

셸(Shell)을 능숙하게 다루는 방법

셸(Shell)을 능숙하게 다루는 방법📌 1. 명령어의 기본 구조 익히기셸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입니다.명령어 [옵션] [대상]예시:ls -al ~/Documentsls: 목록 출력 명령-al: 옵션 (숨김파일 포함 상세 목록 표시)~/Documents: 대상 디렉터리✔️ Tip: 명령어 뒤에 --help 또는 man을 이용해 명령어 사용법을 익힙니다.ls --helpman ls📌 2. 자주 쓰는 명령어부터 암기하기셸을 잘 쓰려면 기본 명령어부터 익혀야 합니다.명령어 용도cd디렉터리 이동ls디렉터리 내용 출력pwd현재 디렉터리 확인mkdir디렉터리 생성rm파일이나 디렉터리 삭제cp파일 복사mv파일 이동 또는 이름 변경touch파일 생성 또는 수정 시간 변경cat파일 내용 출..

터미널과 셸의 차이점

🖥️ 터미널과 셸의 차이점 정리1. 터미널(Terminal)이란?입력과 출력을 위한 창입니다.사용자가 키보드로 명령을 입력하고, 그 결과를 화면에 출력해주는 도구입니다.옛날에는 물리적인 장치(텔레타이프)였지만, 지금은 소프트웨어 형태의 가상 터미널을 말합니다.📌 예시:Ubuntu의 GNOME TerminalmacOS의 Terminal 앱Windows의 명령 프롬프트, PowerShell, Windows Terminal 등2. 셸(Shell)이란?터미널 안에서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운영체제에 전달하고, 그 결과를 출력합니다.터미널은 껍데기, 셸은 뇌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대표적인 셸:bash (가장 널리 사용됨)zsh, fish, sh, kshWindow..

Opera 브라우저를 리눅스(Ubuntu/Debian 기반) 시스템에 설치

Opera 브라우저를 리눅스(Ubuntu/Debian 기반) 시스템에 설치🌟 1. 터미널에서 Opera 설치 (공식 저장소 사용)🔧 1-1. 필수 패키지 업데이트 및 설치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wget curl apt-transport-https software-properties-common🌐 1-2. Opera 공식 저장소 추가wget -qO- https://deb.opera.com/archive.key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opera.gpg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opera.gpg] https://deb.opera.com/opera-stable/ stabl..

리눅스 패키지와 도커

리눅스 패키지와 도커리눅스 패키지는 운영체제에 직접 설치되어 시스템에 영향을 주며, 환경이 공유됩니다. 도커는 애플리케이션과 실행 환경이 포함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격리된 컨테이너에서 독립 실행됩니다.🔧 리눅스 패키지 이미지와 도커 이미지의 비교 설명1. 공통점부터 이해하기리눅스 패키지와 도커 이미지항목리눅스 패키지도커 이미지목적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위한 파일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 전체를 포함한 템플릿포함 요소실행 파일, 라이브러리, 설정 파일 등실행 파일, 라이브러리, 환경설정, OS 레벨의 구성 등설치 방식운영체제 위에 설치 (호스트 환경에 의존)독립된 환경에서 실행 (컨테이너로 격리)관리 도구apt, yum, dpkg 등docker 명령어버전 관리패키지 버전별로 설치 가능이미지 태그로 버전 관리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