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63

[리눅스 명령어] tcp wrapper 설정하기, tcpdchk

tcp wrapper 설정하기, tcpdchk tcpdchk는 Linux에서 TCP 래퍼(TCP Wrapper) 구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TCP 래퍼는 들어오는 연결을 수락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TCP 래퍼의 주요 구성 파일은 /etc/hosts.allow와 /etc/hosts.deny입니다. tcpdchk의 기능 구성 파일 검사: tcpdchk는 /etc/hosts.allow 및 /etc/hosts.deny 파일을 검사하여 잠재적 문제나 잘못된 구성을 식별합니다. 문제 보고: 구문 오류, 존재하지 않는 호스트 이름 또는 유효하지 않은 표현과 같은 문제를 보고합니다. 경고 및 제안: 의도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 항목에 대한 경..

[리눅스 팁] vi 편집기에서 찾아 바꾸기 기능 사용법

리눅스 vi 편집기에서 찾아 바꾸기 기능 사용법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텍스트 편집기 중 하나인 vi 편집기는 강력한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찾아 바꾸기' 기능은 텍스트를 효율적으로 편집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긴 문서에서 특정 단어나 구문을 쉽게 찾아 수정할 수 있습니다. vi 편집기 실행 및 명령 모드 진입 vi htmlHandon03.html vi 편집기가 실행되면 기본적으로 '명령 모드'에 있습니다. 이 모드에서는 텍스트 편집이 아닌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먼저, 리눅스 터미널을 열고 vi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편집할 파일명을 지정하여 vi를 시작합니다. 찾아 바꾸기 기능 사용 전체에서 찾아 바꾸기 :%s/찾을 단어/바꿀 단어/g 여기서 '%s..

[리눅스 팁] GRUB 설정 파일 백업과 적용

GRUB 설정 파일 백업과 적용GRUB 설정 파일을 텍스트 파일로 백업GRUB 설정 파일을 텍스트 파일로 백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터미널을 엽니다. GRUB 설정 파일은 보통 /etc/default/grub에 위치합니다. 이 파일을 백업하려면, 터미널에서 sudo cp /etc/default/grub ~/grub_backup.txt 명령을 실행합니다. 이제 grub_backup.txt 파일이 홈 디렉토리에 GRUB 설정의 백업으로 저장됩니다. 이렇게 하면 GRUB 설정을 안전하게 백업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 이 파일을 참조하거나 복원할 수 있습니다.GRUB 설정을 적용변경된 GRUB 설정 파일을 시스템에 반영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터미널을 엽니다. 수정한 GRU..

[리눅스 명령어] 파일 묶기, tar

파일 묶기, tar tar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터리들을 아카이브하는 데 사용되며, 필요한 경우 압축도 가능합니다. 이 도구는 여러 파일을 하나의 파일(타르볼이라 불림)로 묶거나, 타르볼에서 파일을 추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 사용법 tar [옵션] [타르볼 파일명] [파일/디렉터리명] 주요 옵션 -c: 새로운 아카이브를 생성합니다. -x: 아카이브에서 파일을 추출합니다. -t: 아카이브에 포함된 파일 목록을 표시합니다. -f: 파일명을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 옵션은 필수입니다. -v: 자세한 정보를 출력합니다(Verbose). -z: gzip을 사용하여 압축하거나 압축 해제합니다. -j: bzip2를 사용하여 압축하거나 압축 해제합니다. -J: xz를 사용하여 압축하거나 압축 해제합니..

[리눅스 팁] 크롬 브라우저 아이콘을 데스크톱 패널에 올리기

크롬 브라우저 아이콘을 데스크톱 패널에 올리기 대부분의 리눅스 데스크톱 환경에서는 .desktop 파일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메뉴에 추가하거나 데스크톱, 패널에 바로 가기를 생성합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방법을 안내합니다. 먼저, 터미널을 열고 /usr/share/applications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이곳은 시스템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desktop 파일이 보관되는 곳입니다. cd /usr/share/applications 구글 크롬의 .desktop 파일을 찾습니다. 파일명은 google-chrome.desktop 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 ls | grep chrome .desktop 파일을 편집기로 열어 내용을 확인합니다.여기서 vi는 텍스트 편집기..

[리눅스 명령어] 사용자 간의 실시간 대화 하기, talk

사용자 간의 실시간 대화 하기, talk talk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자 간의 실시간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텍스트 기반의 대화 도구입니다. 이 명령어는 네트워크를 통해 두 사용자가 서로의 터미널 세션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기본 사용법 talk [사용자명]@[호스트명] [사용자명]: 대화를 시작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명입니다. [호스트명]: 대화 상대방이 로그인해 있는 호스트의 이름이나 IP 주소입니다. 주요 특징 talk는 쌍방향 통신을 제공합니다. 즉, 두 사용자는 동시에 서로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대화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입력하는 즉시 다른 쪽 터미널에 표시됩니다. talk 명령어는 talkd라는 서비스가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고 실행 중일 때..

[리눅스 팁] SHA-256 해시 함수 사용 방법

SHA-256 해시 함수 사용 방법 SHA-256 해시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시스템이나 사용 중인 프로그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sha256sum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의 SHA-256 해시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는 GNU coreutils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으며, 많은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sha256sum [옵션] [파일...] 옵션: -b 또는 --binary: 바이너리 모드로 파일을 처리합니다. (텍스트 파일이 아닌 파일에 사용) -t 또는 --text: 텍스트 모드로 파일을 처리합니다. (기본 옵션) -c 또는 --check: SHA-256 체크섬 파일을 읽고 그 내용을 검증합니다. --tag: 출력..

[리눅스 명령어] 문서 끝부분 출력하기, tail

문서 끝부분 출력하기, tail tail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강력한 텍스트 처리 도구 중 하나입니다. 이 명령어는 파일의 끝 부분에 있는 텍스트를 출력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표시합니다. 하지만 다양한 옵션을 사용하여 이 동작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tail [옵션] [파일명] [파일명]: 읽고자 하는 파일의 이름입니다. [옵션]: tail 명령어의 동작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요 옵션 -n [숫자]: 출력할 마지막 줄의 수를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n 5는 마지막 5줄을 출력합니다. -f: 파일의 내용이 추가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추적합니다. 로그 파일을 모니터링할 때 유용합니다. --pid=[PID]: 특정 프로세스 ..

[git] 리눅스의 같은 디렉터리에서 git 브랜치 변경

리눅스의 같은 디렉터리에서 git 브랜치 변경 리눅스 시스템에서 같은 디렉터리 내에서 브랜치를 전환하는 것은 Git을 사용하는 정상적인 프로세스입니다. Git의 브랜치 기능은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해 독립적으로 여러 기능을 개발할 수 있게 해줍니다. 같은 디렉토리에서 브랜치를 전환하는 이유 작업 효율성: 프로젝트의 다른 부분들을 개발하거나, 다른 기능을 추가하거나, 버그를 수정하기 위해 여러 브랜치를 전환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같은 디렉토리에서 브랜치를 전환하면 각 브랜치에 특정한 변경사항을 적용하고, 빠르게 다른 브랜치로 이동하여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환경 유지: 프로젝트 디렉토리 안에서 브랜치를 전환하면, 개발 환경을 ..

[리눅스 팁] 파일의 무결성 확인하는 명령어, md5sum

파일의 무결성 확인하는 명령어, md5sum md5sum은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파일의 MD5 (Message-Digest Algorithm 5) 해시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MD5 해시 함수는 데이터 또는 파일의 내용을 대표하는 128비트 (16바이트) 길이의 해시 값을 생성합니다. 이 해시 값은 파일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 사용법: md5sum [옵션] [파일...] 옵션: -b: 바이너리 모드로 파일을 처리합니다 (기본적으로 텍스트 모드). -c: MD5 체크섬 파일을 읽고, 리스트에 있는 파일의 MD5를 검증합니다. -t: 텍스트 모드로 파일을 처리합니다 (기본적으로 바이너리 모드). --tag: 출력을 RFC 1321에서 권장하는 형식으로 만듭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