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19

[리눅스 팁] 크롬 브라우저 아이콘을 데스크톱 패널에 올리기

크롬 브라우저 아이콘을 데스크톱 패널에 올리기 대부분의 리눅스 데스크톱 환경에서는 .desktop 파일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메뉴에 추가하거나 데스크톱, 패널에 바로 가기를 생성합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방법을 안내합니다. 먼저, 터미널을 열고 /usr/share/applications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이곳은 시스템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desktop 파일이 보관되는 곳입니다. cd /usr/share/applications 구글 크롬의 .desktop 파일을 찾습니다. 파일명은 google-chrome.desktop 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 ls | grep chrome .desktop 파일을 편집기로 열어 내용을 확인합니다.여기서 vi는 텍스트 편집기..

[리눅스 명령어] 사용자 간의 실시간 대화 하기, talk

사용자 간의 실시간 대화 하기, talk talk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자 간의 실시간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텍스트 기반의 대화 도구입니다. 이 명령어는 네트워크를 통해 두 사용자가 서로의 터미널 세션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기본 사용법 talk [사용자명]@[호스트명] [사용자명]: 대화를 시작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명입니다. [호스트명]: 대화 상대방이 로그인해 있는 호스트의 이름이나 IP 주소입니다. 주요 특징 talk는 쌍방향 통신을 제공합니다. 즉, 두 사용자는 동시에 서로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대화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입력하는 즉시 다른 쪽 터미널에 표시됩니다. talk 명령어는 talkd라는 서비스가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고 실행 중일 때..

[리눅스 팁] SHA-256 해시 함수 사용 방법

SHA-256 해시 함수 사용 방법 SHA-256 해시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시스템이나 사용 중인 프로그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sha256sum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의 SHA-256 해시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는 GNU coreutils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으며, 많은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sha256sum [옵션] [파일...] 옵션: -b 또는 --binary: 바이너리 모드로 파일을 처리합니다. (텍스트 파일이 아닌 파일에 사용) -t 또는 --text: 텍스트 모드로 파일을 처리합니다. (기본 옵션) -c 또는 --check: SHA-256 체크섬 파일을 읽고 그 내용을 검증합니다. --tag: 출력..

[리눅스 명령어] 문서 끝부분 출력하기, tail

문서 끝부분 출력하기, tail tail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강력한 텍스트 처리 도구 중 하나입니다. 이 명령어는 파일의 끝 부분에 있는 텍스트를 출력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표시합니다. 하지만 다양한 옵션을 사용하여 이 동작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tail [옵션] [파일명] [파일명]: 읽고자 하는 파일의 이름입니다. [옵션]: tail 명령어의 동작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요 옵션 -n [숫자]: 출력할 마지막 줄의 수를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n 5는 마지막 5줄을 출력합니다. -f: 파일의 내용이 추가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추적합니다. 로그 파일을 모니터링할 때 유용합니다. --pid=[PID]: 특정 프로세스 ..

[git] 리눅스의 같은 디렉터리에서 git 브랜치 변경

리눅스의 같은 디렉터리에서 git 브랜치 변경 리눅스 시스템에서 같은 디렉터리 내에서 브랜치를 전환하는 것은 Git을 사용하는 정상적인 프로세스입니다. Git의 브랜치 기능은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해 독립적으로 여러 기능을 개발할 수 있게 해줍니다. 같은 디렉토리에서 브랜치를 전환하는 이유 작업 효율성: 프로젝트의 다른 부분들을 개발하거나, 다른 기능을 추가하거나, 버그를 수정하기 위해 여러 브랜치를 전환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같은 디렉토리에서 브랜치를 전환하면 각 브랜치에 특정한 변경사항을 적용하고, 빠르게 다른 브랜치로 이동하여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환경 유지: 프로젝트 디렉토리 안에서 브랜치를 전환하면, 개발 환경을 ..

[리눅스 팁] 파일의 무결성 확인하는 명령어, md5sum

파일의 무결성 확인하는 명령어, md5sum md5sum은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파일의 MD5 (Message-Digest Algorithm 5) 해시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MD5 해시 함수는 데이터 또는 파일의 내용을 대표하는 128비트 (16바이트) 길이의 해시 값을 생성합니다. 이 해시 값은 파일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 사용법: md5sum [옵션] [파일...] 옵션: -b: 바이너리 모드로 파일을 처리합니다 (기본적으로 텍스트 모드). -c: MD5 체크섬 파일을 읽고, 리스트에 있는 파일의 MD5를 검증합니다. -t: 텍스트 모드로 파일을 처리합니다 (기본적으로 바이너리 모드). --tag: 출력을 RFC 1321에서 권장하는 형식으로 만듭니..

[데스크톱] 네트워크 설정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설정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하는 방법은 크게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식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나뉩니다. 다음은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식과 GUI 방식의 기본적인 절차입니다. 1.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식 1.1. 또는 명령어 사용 리눅스 배포판에 따라 ifconfig 또는 ip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fconfig는 구버전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며, ip 명령어는 최신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ip 명령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방법은 'ip link show'입니다. 1.2. IP 주소 설정 임시 IP 주소 설정: sudo ifconfig [인터페이스 이름] [IP 주소] netmask [서브넷 마스크] sudo ip addr a..

[리눅스 팁] ISO 이미지를 USB에 심는 방법

ISO 이미지를 USB에 심는 방법 리눅스 민트 MATE 버전 ISO 이미지를 USB에 심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USB 드라이브를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USB Image Writer' 도구를 엽니다. 리눅스 민트에는 이 도구가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USB Image Writer'에서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선택합니다. 대상으로 USB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Write' 버튼을 클릭하여 ISO 이미지를 USB에 복사합니다. 이미지 라이팅 과정 소개 USB에 심을 리눅스민트 MATE 버전을 찾습니다. 다운로드 디렉터리에서 찾아 선택합니다. 최신 버전(2024년 1월 13일 현재)은 21.3이군요. 대상 USB를 선택하면 '만들기'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USB의 모든 데이터는 삭제됩니다...

[리눅스 팁] 업그레이드 전에 시스템 분석과 보관

리눅스 시스템 사양 분석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하드웨어 사양을 확인하려면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PU 정보: lscpu 메모리 정보: free -h 또는 cat /proc/meminfo 디스크 사용량: df -h 전체 하드웨어 정보: sudo lshw 또는 inxi -Fxz (inxi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명령어들은 시스템의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 공간 등의 주요 하드웨어 정보를 제공합니다. 내 경우는 이번 리눅스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하면서 위 명령들을 사용하여 분석한 내용을 모두 모았습니다. 업그레이드 이후에 나타날 리스크에 대한 대비입니다. github에 백업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기 때문에 github에 보관했습니다. 만약의 사태에 대한 대비입니..

[리눅스 명령어] 거꾸로 보기, tac

거꾸로 보기, tac tac 명령어는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역순(마지막 줄부터 첫 번째 줄까지)으로 출력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는 cat 명령어와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내용을 거꾸로 출력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명령어도 거꾸로 되어 있습니다. 'cat', 'tac'. tac 명령어 사용법 기본적인 tac 명령어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tac [파일명] 만약 파일명을 지정하지 않거나, -를 파일명 대신 사용하면 tac 명령어는 표준 입력에서 내용을 읽습니다. 사용 예시 파일의 내용을 역순으로 출력하기:이 명령은 filename.txt 파일의 내용을 마지막 줄부터 시작해서 첫 번째 줄까지 역순으로 출력합니다. tac filename.txt 파이프라인을 통해 다른 명령..